the word of god – thomas m. disch

The Word of God: Or, Holy Writ Rewritten 2008년 생을 마감한 토마스 M.디쉬의 마지막 작품은 당돌하고도 슬프다.

2001년 9월 11일과 부시 시대, 그리고 2004년 성탄절 아시아 해일을 계기로 그는 聖書, 신의 말씀을 썼다. 자신의 神性과 작가, 지옥과 필립 K.딕, 토마스 만과 예수, 베드로, 탄생과 기적, 천국과 배신, 60년대와 약물. 수필이자 풍자, 소설과 시가 담긴 책이다.

불꽃에서 생명을 얻는 불사조, 죽음의 비행을 종교의 장점이라 쓴 그가 아쉽다. 목숨을 끊은 그 사람들에게 건배.

Ballade of the New God
By Thomas M. Disch

30 July 2001

나의 거룩함을 결정했노라.
칼리귤라와 네로는
비슷한 경건함을 알았지만
지나간 과거.
그들은 죽었으니, 죽은 신이 무얼 할꼬?
나는 지금 여기에 있도다. 다이나마이트일지라.
너희라면 나를 숭배하리.
오늘밤 새 종교가 시작된다!

술, 대마초, 섹스, 돼지 없음:
나 그 모두 금하노라.
내 말이 감로주요,
내 생각이 꿀물이 되리라.
다른 생각은 피하리라.
너희를 토마사이트라 부르고
목청높여 야후를 부르짖어 나를 찬양하라.
오늘밤 새 종교가 시작된다.

그러나 말도 안된다!(고 생각할지 모른다)
내가 신이면 너희 역시.
자신을 위한 사원을 지었을지라도,
나는 무릎을 꿇지 않을 것이다. 누가
내 신이 되기를 청했던가? 신성하고
참인 나는 신으로서 행한다.
이제 너희는 나의 행도에 합류하라:
오늘밤 새 종교가 시작된다.

내가 한 말 모두 진실이다.
나는 신이며 너희는 시종.
항복은 천상의 기쁨이라, 너희를 부러워 하노라.
오늘밤 새 종교가 시작된다.

Continue reading

잠 못 이루는 밤

지난 금요일은 미국밴드 문선길 Sun Kil Moon 공연을 보았다. 아쉽게도 사진은 찍은게 없지만 공연은 좋았다. 오프닝을 맡았던 미아 도이 토드 Mia Doi Todd도 여전했는데, 나중에 시디를 팔러 앉아 있던 모습이 좀 쓸쓸하더라.

돌아와서는 구글 웨이브 발표를 보는 바람에 곧 잠들지 못했다. 한시간을 훌쩍 넘기는 걸. 그래도 흥미진진. 만들기만 하는게 아니라 사람들 앞에서 말하고 이야기할 수 있는 기술자는 그렇게 흔하지 않다. 그런데 구글에는 꽤 많다 :p 비공개 베타인 셈이지만 흥미롭다. 두고 볼 일이다.

경향신문 사이트는 이제 대체로 제목을 기사에 맞추는데, 여전히 공통 제목을 쓰는 weekly경향(분발하시라!)에 눈길을 끄는 기사가 있다.

* weekly경향[문화]“우리 노래 들으면 통쾌하대요”

원래 참요, 민요, 풍요가 포크고 딴따라에 음유시인이 다르지 않은거다.

Continue reading

괴물의 탄생 – 우석훈

괴물의 탄생 자신의 말처럼, 우석훈은 c급 경제학자일지 모른다. 이전에도 그랬듯이 그의 책에 참고서적의 정확한 목록이 달려있지 않다. 그러나, 대부분의 독자가 경제학자로서의 그를 평가할 수 있을까. ‘쿨’하지 않은 그의 글에는 열정이 느껴지고 안타까움이 배어난다.

괴물 Leviathan에서 홉스가 이야기한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은 지탱할 수 없는 상황이요 사회계약을 논하기 위한 조건이다. 또한 분립되지 않은 권력의 전횡은 반란으로 이어질 것이라고도 했다.

한 학기 강의를 염두에 둔 책은 12 장과 결론으로 짜여져 있다. 세계경제의 흐름과 변화, 한국경제와 괴물, 대안의 모색과 숙제 확인. 超토건국가 대한민국과 토호들에 대한 분석을 주목할 만 하다.

정말로 윤택하고 풍성한 지역경제란 ‘방문하거나 관광하고 싶은 곳’이 아니라 ‘살고 싶은 곳’을 뜻한다는 사실입니다. 관광자원이라는 미명 아래 관광요소만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그곳에 깃들어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 바로 그것이 지금 우리가 공부하는 경제학이 돌아봐야 할 가치입니다. … 자신이 태어난 곳, 자라난 곳, 그리고 지금 살고 있는 곳과 여러분의 후손들이 살았으면 하는 , 그런 것들에 대해서 한번 가슴으로 생각해보실 수 있는 기회를 가지셨으면 합니다. 랜드마크가 아니라 ‘정주human settlement’의 의미에 대해서 찬찬히 생각해보시면, 최소한 여러분 개개인의 삶이라도 조금은 윤택해질 것입니다. … 도대체 지금까지 우리의 정권과 중앙의 신문들, 토호들이 얼마나 세상 돌아가는 모습을 왜곡하고 있었는지 한번 꼼꼼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여러분들의 삶에도, 정주定住가 함께하기를 바랍니다.

st.vincent @bimbo’s 365 – 05/27/2009

패턴이 운동 Pattern is Movement은 필라델피아 인디 밴드. 패턴으로 운동을 대신한 것인지 체격좋은 앤드류 디볼드 Andrew Thiboldeaux와 크리스 워드 Chris Ward가 현재의 이당백. 드럼과 신디사이저는 미니멀하지만 독특한 음악을 펴는데 부족하지 않았다.

pattern is movement #1pattern is movement #2pattern is movement #3

聖 빈센트 St. Vincent를 보기는 이번이 세번째. 기타 잘 치는 애니 클락이 예쁘기도 하지만 새 앨범 연기자 Actor의 호평에 관심이 갔기 때문이다. 지난번 노이즈팝 공연은 넘겼는데 공연을 또 왔으니, 세번이지만 무대는 매번 달랐다.

st.vincent #1st.vincent #2st.vincent #3

결혼해요 Marry Me로 무대를 열었다. 그 중 세련된 빔보네 365 무대에 소리가 선명했다. 바이얼린과 기타를 다루는 대니얼 하트 Daniel Hart, 베이스의 빌 플린 Bill Flynn, 드럼에 앤소니 라마카 Anthony LaMarca, 색소폰/신디사이저/플루트/클라리넷에 에반 스미스 Evan Smith로 채워진 밴드. 거기다 사진도 플래시 안쓰면 괜찮은 경우는 이 공연장에서는 처음.

Continue reading

2009년, 서울의 벽

2009년 5월 23일. 고인의 명복을 빈다.

“페르시아의 왕 캄비세스가 이집트의 왕 사메트니우스를 붙잡았을 때, 그는 이 포로에게 모욕을 주고자 했다. 캄비세스는 페르시아의 개선행렬이 지나는 거리에 사메트니우스를 세워두라고 명령했다. 사메트니우스는 자신의 딸이 물동이를 인 하녀의 모습으로 제 앞을 지나는 것을 봐야 했다. 모든 이집트인이 이를 보고 슬퍼했지만 사메트니우스만은 눈을 땅에 떨어뜨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제 아들이 처형당하기 위해 행렬 속에 함께 끌려가는 것을 보고도 그는 꿈쩍하지 않았다. 하지만 포로행렬에서 자신의 하인 가운데 하나를 보는 순간, 그는 손으로 머리를 치면서 가장 깊은 슬픔을 표했다.”

farewell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