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world too near – kay kenyon

by Kay Kenyon 케이 케년 Kay Kenyon전체와 장미 the Entire and the Rose 제 2권, 너무나 가까운 세상 A World Too Near.

구리빛 피부에 길다란 이계의 신, 타리그가 지배하는 전체는 광대하다. 전능에 가까운 타리그가 이쪽 세상을 본따 생명을 만들었다고 전해지는데, 전체의 신은 기피의 대상이란다. 시간이 다르게 흐르고, 밤낮, 계절, 월년이 없는 세상과 다양한 족속들. 중세나 로마제국을 떠올리게 하는 계층구조와 문명이 다채롭다.

작가의 홈페이지에 설정과 인물, 족속에 관한 짤막한 설명이 있다. The Universe Extras.

죽었다고 생각했던 아내 요하나 Johanna는 살아있고, 빼앗긴 딸 시드니 Sydney는 마음을 읽는 뿔달린 말 이닉스 Inyx 속에서 희망을 발견한다.

밤이 없는 전체를 유지하기 위해 인류가 사는 이쪽 세계를 땔감으로 쓰려는 타리그 Tarig들의 계획을 막아야 하는 티터스 퀸 Titus Quinn. 불청객 헬리스 Helice Maki와 함께 아넨훈 Ahnenhoon 요새로 향한다. Continue reading

devotchka @the fillmore – 04/28/2008

캐나다에서 온 배샤 불라트 Basia Bulat는 어린 얼굴에 시원스러운 목소리. 세 살때부터 피아노를 두들기며 놀았다나. 우쿨렐레, 바이얼린, 첼로, 드럼 이렇게 아담한 밴드와 무대에 올라 하프, 기타, 건반을 다루며 노래를 했다.

Basia Bulat #1Basia Bulat #2Basia Bulat #3
데이트로터 Daytrotter에 올 3월 몇곡이 올라왔다.

Basia Bulat #4Basia Bulat #5Basia Bulat #6
첫 미국 공연에 따듯한 반응을 받자 기쁜 표정을 지었다. 사진을 좀 찍었나, 소매없는 티를 입은 아저씨가 좀 보잔다(-ㅅ-) 렌즈 앞에 끼워둔 어댑터 탓에 SLR로 착각한 모양인데, 그래도 사진기를 맡기란다. 뭐, 오랜 만에 사진 찍지 않고 공연을 보았다. 무대 앞으로 돌아가기에는 좀 무리였고, 적당히 들어갔다. 가까이 있던 커플이 발이 넓다. 줄곧 친구들이 왔다갔다, 얼결에 인사도 나누었다.

디보츠카 Devotchka는 콜로라도 덴버 출신의 집시 펑크 인디 밴드. 시작부터 야시시한 옷을 입은 두 아가씨가 나와 무대로 꽃을 뿌린다. 😮 Continue reading

iron man – jon favreau

어쩌다 공짜 영화를 보게 되었다. 시사회라기에는 뭐하고, 개봉전날 행사랄까. 역시 만화를 원작으로 한 영화 아이언 맨 Iron Man. 최근에는 구동 외골격이 실제로 등장하는 터라 흥미롭기도 하다. 조디악 Zodiac에서 재기의 가능성을 보였던 다우니 주니어 Robert Downey Jr.를 위한 영화라는 평에는 대체로 공감했다. 브리지스 Jeff Bridges, 팰트로 Gwyneth Paltrow, 하워드 Terrence Howard 등 다들 주어진 역 이상의 연기는 한다.

잘난 척하고 폼 잡는게 카리스마:p라면, 자조할 수 있는 유머감각과 약간의 오버가 소화에 도움을 주는 매력일게다. 폐인되다 돌아온 다우니 주니어는 이상 다 준비되어 있는 셈이다. 망가지는 연기는 꽤 설득력있으니, 개성없는 기능성 인물이 될 수도 있는 토니 스타크 Tony Stark에 입체감을 준다.
Continue reading

the servants – michael marshall smith

열한 살 마크 Mark는 브라이튼 Brighton에서 아픈 어머니와 양아버지와 산다. 런던에 비하면 아무 것도 없는 촌동네. 날씨는 궂고 스케이트보드는 잘 되지 않는다. 어머니는 늘 집에만 있고 양아버지 데이빗 David은 사사건건 시비를 건다. 어느날 지하층에 홀로 사는 할머니를 만나게 되고 예전에는 지하에 하인들이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영국 작가 마이클 마샬 스미스 Michael Marshall Smith는 멋부리지 않은 글을 쓴다. 200 페이지 조금 넘는 간결하고 담백한 문장.

그는 집으로 돌아가고 싶었지만, 집으로 돌아가고 싶지 않았다. 어머니를 보고 싶었지만, 역시 그렇지 않았다. 집이, 어머니가 두려웠다. 그는 오랫 동안 너무 많은 일들을 당연하게 여겼다는 것을 깨달았다 – 뭘 하든지 세상은 비슷비슷하리라는 생각처럼.
그렇지 않다는 것을 이제 안다.
집으로 돌아가면 지난 번처럼 느껴지지 않을 것이고, 다음은 또 다를 것이다. 세상은 변하고 있었다. 세상은 그대로 있지 않았다. 현실의 삶은 런던처럼 영원하지 않았다. 현실은 더 브라이튼 같은 것이었다.
Continue reading

bright of the sky – kay kenyon

케이 케년 Kay Kenyon은 카피라이터, 광고 모델을 하다 소설을 쓰고 진로를 결정했다고 한다.

불타오르는 하늘, 明天 쯤 될까. 전체 the Entire라는 세계, 평행우주와 23세기 인류의 이야기다. 유년기에 받는 표준시험으로 미래가 결정되고, 최소한의 전식주가 보장되는 미래. Electronic Domain Entitlements라는 이름으로 제공되는 정보와 오락의 배급으로 만족하는 서민과 마천루에서 호사를 누리는 대기업 간부들.

블랙홀을 통한 급행로를 독점하는 기업 미네르바 Minerva Company의 잘 나가던 조종사 티터스 퀸 Titus Quinn은 사고로 승객과 아내, 딸을 잃고 홀로 외딴 별에서 발견된다. 부분적으로 기억을 잃고 백발이 된 그의 넋두리를 회사는 무시하고 미치광이 취급하는데. 궁지에 몰린 슈테판 Stefan Polich과 야심에 찬 헬리스 Helice Maki가 그를 다시 찾는다.

인류가 있는 우주를 장미 the Rose라 부르는 전체는 타리그 Tarig들이 지배한다. 밤이 없는 세계는 수은같은 혼돈의 나이 강 Nigh으로 나뉘어있다. 중국을 닮은 샬린 Chalin인들 사이에서 띄엄띄엄 기억을 수습하는 티터스는 딸 시드니 Sydney를 되찾을 수 있을까?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