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ethar

mind goes back but time goes on and farewell should be forever // alfred bester

Shorefall – Robert Jackson Bennett

로버트 잭슨 베넷의 파운더 3부작 2편 쇼어폴 Shorefall. 1편 파운드리사이드를 재미있게 읽었으니 기대가 컸다.

“우리는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들려고 했어.” 산치아가 말했다. “우리는 도움을 주려고 했었지. 이제 이런 곤경에 빠져버렸어. 우리가 진보하려 할때마다, 그들은 게임을 바꾸어. 자기 마음대로 규칙을 바꿔버려.” 그는 한떼의 개들이 회색원숭이 한마리를 잡고 소리치는 그대로 찢어버리는 것을 지켜보았다. “어쩌면 언제나 그러겠지.”

전편에서 도시 테반느를 뒤집어놓았던 산치아는 지난 3년 동안 동료가 된 오르소, 그레고, 베레니스와 함께 귀족가문 캄포 Campo들이 독점하던 스크라이빙 scriving을 평민들에게 퍼뜨린다. 다양한 일을 쉽게 해낼수 있는 도구를 가지면 평범한 사람들도 더 윤택하고 자유로와지지 않을까. 그러나 더 큰 위협이 다가온다.
스크라이빙을 창안한 고대의 사제 hierophant 중에서도 가장 처음 사제인 크라세데스 마그너스가 부활했다. 수없는 왕국과 제국을 파괴한 무시무시한 능력의 사제가 무슨 일을 저지를지 알수없지만, 산치아가 막아야 한다는데..
Continue reading

The Future of Another Timeline – AnnaLee Newitz

저널리스트겸 작가인 애너리 뉴위츠의 SF소설 다른 시간대의 미래 The Future of Another Timeline을 읽었다.

평행우주란 우리가 살고있는 시공간, 현재의 세상 이외에도 가능한 우주가 다수 존재한다는 가정 속의 다른 세상이라는 얘기다. 소설, 영화, 애니메이션 등에서 여러가지로 사용하곤 한다. 인상적인 예는 윌리엄 깁슨의 꽁초 stub세계가 되겠다.

고대의 유적을 통해 과거로 시간여행할 수 있는 세상이 무대. 지구과학자는 5억년전 만들어진 다섯 개의 기계를 연구하고 이를 통해 시간여행하는 직업이다. 지표가 30억년 이상 변화하지 않은 곳에서 발견된 기계는 지구에 생명이 탄생하기 이전에 존재한 인터페이스로 추정된다.

지구과학자들은 21세기 초에 마침내 작은 일들은 변하지만 큰 사건은 변하지 않는다는 이론에 합의한다. 타임라인에 주요한 일탈을 초래하려는 일은 나쁜 과학일뿐 아니라 실패하는 폭군들과 멍청이들이 꼬여드는 꿀단지다. 또한 연대학계 규정에 위반한다.

Continue reading

Alpha and Omega – Harry Turtledove

해리 터틀도브의 소설 알파와 오메가 Alpha and Omega를 읽었다. 도서관이 폐쇄되기 전 신간서가에서 집었기에 나중에 펼쳐보고서야 종말의 날을 소재로 삼은 대체역사 소설이란 것을 알았다.

종말의 날이 오고, 구원의 기회는 지금뿐. 몇번인가 되풀이되는 긴급하고 급박한 선언이다. 다양한 종교와 예언자들이 하는 말은 세속적인 현실주의자가 5초도 관심을 주지 않을 일. 그러나 그런 예언이 현실로 이루어지면 어떻게 될까?

이제 우리는 남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신경쓰지 않는다. 에릭은 요람의 말의 의미하는 바를 생각했다. 그는 루비시와 논쟁하고 싶지 않았다. 성궤 발굴팀의 일원이라는 것은 그를 고고학 학회에서 주목받게 해줄 것이다. 어쩌면 종식자리로 이어질 직장도. 그러나 그는 예루살렘을 마음대로 재건하는 어느 단체도 마음이 편하지 않았다. 전부는 아니더라도 많은 무슬림들에게 있어서 무함마드 이전은 모두 무지의 시간, Jahiliyah였다. 이스라엘은 훨씬 더 과거까지 보았으나 자신만의 목적이 있었다.

Continue reading

Empress of Forever – Max Gladstone

맥스 글래드스턴의 영원의 여왕 Empress of Forever. 제법 두툼한 페이퍼백. 글래드스턴의 책은 처음이다.

천재 사업가 비비언 리아오 Vivian Liao는 억만장자, 적도 많이 만들었다. 그들을 피해 신분을 숨기고 보스턴 서버팜에 숨어들어 적들을 피하고 이겨낼 비밀 프로젝트를 개시하려던 순간 상상할 수 없는 존재를 만난다.

주인공 비브 Viv가 눈을 뜬 거의 전능한 여제 Empress가 통치하는 미래. 기계 생명체 프라이드 Pride 드론의 공격을 피해 거울교 Mirrorfaith 수도승 홍과 달린다. 누구나 네트워크 클라우드 Cloud에 영혼이 보관된 세상. 그런 영혼이 없는 비브는 지구로 돌아가기 위해 아군을 찾는다.

거의 하이퍼스페이스 데이터 시스템이라 부를만 하네. 사람들은 여제가 만들었다고 혹은 최초로 발견했다고, 아니면 찾은것 위에 클라우드를 만들었다고 하지만 너무 옛날 일이라 아무도 기억하지 못한다. 어쨌거나, 클라우드를 마음대로 주무르는데 여제를 능가할 자가 없었다.
비브는 그 함의를 생각했다. 빛보다 빠른 거대분산망으로 무얼 할수있을까? 최소한,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대량의 계산을 할수 있겠지. 물질을 입자별로 색인화, 복사할수있고. 온 우주의 사본을 만들고, 원자마다 정보요소를 덧붙이고, 코드가 현실을 고쳐쓸 때까지 기저물질에 나노기계를 심는다. 가능한 일이며, 누군가 어느 순간에 한 일이다. 우주 속 누구나 하나의 클라우드에 결합되어 있다.

Continue reading

Lent – Jo Walton

조 월튼의 소설 사순절四旬節 Lent을 읽었다. 회귀의 소설 A novel of many returns이라는 부제는 하드커버 표지에는 없는데, 주인공이 거듭 같은 시대로 돌아오는 이야기다.

15세기 르네상스 시대의 플로렌스/피렌체, 도미니크회 수도사인 지롤라모 사보나롤라 Girolamo Savonarola가 주인공이다. 자신에게 엄격하고 사람들에게 친절한 그는 예언자이기도 하다. 마귀를 퇴치하고 사람들을 믿음으로 이끌던 그가 친구인 백작 피코의 청으로 임종을 앞둔 로렌초 메디치를 방문한다. 그곳에서 큰 비밀을 깨닫으면서 이야기가 돌아간다.

“신은 사람에게 자유의지를 허락하시고, 마귀가 세상에서 일하게 허락하셨다. 사람은 신을 찾고 선한 것을 찾을 선택을 해야한다. 그리고 그 선택을 거듭해야 한다. 유혹이 유혹적이지 않다면, 선택이라 할수 없지 않겠는가? 세상의 허영은 덧없는 것임을 우리가 알지만, 눈 앞에 잔치상이 차려져있을때 금식하기란 얼마나 어려운가. 신이 아담을 보낸 정원에 모든것이 제대로였으며 오직 한가지 잘못된 선택이 있었으나, 그는 유혹에 빠져들고 말았다. 그로부터, 사람은 유혹에 둘러싸인 세상에 살았고 옳지 않은 선택이 더 많았다. 그러나 사람은 자신의 선의와 희생을 통해 신에게 닿을수있다.”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