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her lands – david anthony durham

데이빗 안소니 더램의 아카시아 3부작 제2권, 다른 땅 Other Lands.

상선 연맹은 다리엘을 사절로 내세워 로던 애클룬 Lothan Aklun을 방문한다. 거친 회색 바다를 건너는 낯설고 위험한 항해에서 다리엘은 그들의 의도를 알게되지만 너무 늦다. 메나는 산토스의 마법이 낳은 괴수 foulthing들을 사냥한다. 거미처럼 다리가 많고 코끼리 만한 염소, 사자, 날짐승, 물고기를 닮았지만 다른 오염된 그들은 제각기 다르다. 그리고 용처럼 거대한 도마뱀을 만나게 된다.
절대 권력을 손에 넣은 여왕 코린은 아무도 믿을 수 없다. 해니시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 에이든 Aaden에 집착하는 마법사 여왕은 외로운 왕좌를 포기하지 못한다.

“… ‘진실은 한 몸에 머리가 여럿 달린 학이다’라는 말이 있어. 동요하면 그 머리들은 서로를 먹어치우고 하나만 남게되지.”
“그리고는 하나의 진실이 이기는건가?”
“아니. 참수를 여러번 당한 몸에서, 하나의 머리는 혼자서 살지 못해. 하나의 진실이 남았더라도, 다른 진실들과 이어주던 몸이 죽으면 그것도 죽지.”

Continue reading

biutiful – alejandro gonzález iñárritu

이냐리투 Alejandro González Iñárritu의 영화, 뷰티풀 Biutiful을 보았다. 길고, 어둡고, 무겁지만 아름다운 영화.

조울증의 전처와 헤어진 두아이의 가장인 우스발 Uxbal은 법 밖에서 산다. 불법 이민자로 짝퉁 공장을 돌리는 하이와 세네갈에서 온 에쿠에메 Ekweme, 부패한 경찰 장 사이에서 그는 돈을 벌고, 죄책감을 떨치지 못한다. 가진것 없이 오지랖 넓은 그는 혼을 보는 무당이기도 한데, 그 재능 역시 행복하게 사는데에 도움은 되지 않는다. 암으로 살아갈 날이 얼마 남지 않은 그의 주위에 있는 이들은 어느 누구도 완벽하지 않다. 나쁜 패로 이기기는 어렵다.
Continue reading

barney’s version – richard j. lewis

CSI로 유명한 캐나다 감독 리처드 J.루이스의 영화 바니의 해석 Barney’s Version에는 잘 알려진 배우들이 꽤 나온다.


자신의 인생을 쓴다면 책 한 권(혹은 서너 권)이라는 말을 흔히 한다. 그러나 말은 말인 것, 대부분의 경우 그 책은 무척 얇다. 그 여백을 채우는 데 소설이나 영화가 도움이 되는게 아닐까. 미국 카피 말대로 세번 결혼한 남자 바니의 이야기는 책 한 권을 충분히 채울듯, 영화도 길다.
Continue reading

자제력 배운 애가 나은 어른 된다? – ars technica

어린 시절과 어른의 되어서의 삶과의 연관은 흥미롭다. 떡잎으로 알아보았던 미래가 펼쳐지든, 평범한 일상으로 이어지든, 뜻밖의 전환을 찾든. 아스존 티머 John Timmer가 요약한 연구를 옮겨본다.

Learning self-control as a kid makes for a better adulthood

유년시절에 일어난 일은 평생의 괘적에 영향을 미친다. 가족의 경제적인 신분과 아이의 IQ 같은 요소들은 건강에서 경제적인 안정까지 성인이 되어서의 복지와 연관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요소들은 바꾸기 어렵다. 힘든 배경을 극복하는 사람들의 비결은 무엇일까, 더 널리 나눌수 있는 것일까? 그것이 1000 명이 넘는 아이들을 32세까지 쫓아간 연구팀의 물음이었다. 그 결과는 퍽 간단하다. 애들에게 자제력을 좀 가르치자.

뉴질랜드 더네이든에서 태어났고 더네이든 건강 및 발달 연구에 등록한 이 아이들은 32년이 지나서도 96%가 보고를 계속했다. 친구, 선생님, 부모, 아이들 본인이 신체 및 정신적인 상황에 대해 보고했다.
전문가들의 정신과 및 의학적 검진까지, 아이들의 발달 전반에 대한 포괄적인 시각은 주목할만 하다. 지난 10년만 해도 수백 건의 논문이 산출되었다.

최신의 연구는 자제력에 중심을 두었는데, 이는 저자들의 주요 관심사인 것 같다. “만족을 미루고, 충동을 제어하고, 감정적인 표현을 조절할 필요는 사회가 아이들에게 공통적으로, 일찍부터 요구하는 일이다.” 빚을 갚고, 중독을 피하는 등, 그런 부류의 자제력은 성인이 되어서도 중요한 요인이 된다. 또한, 자제력은 평생을 통해서 변화할 수 있고, 학습할 수도 있다는 징후가 있다고 언급한다.
Continue reading

hull zero three – greg bear

화자인 나, 선생 Teacher는 꿈 속 시간 dreamtime의 기억을 가지고 깨어난다. 순간순간이 수수께끼. 알수없는 요소 Factor는 생명체일까, 로봇일까. 오고가는 중력의 물결과 냉한의 주기. 짜릿짜릿한 위험과 모험은 게임이나 영화 같다.

나는 게임의 규칙을 깨닫기 시작한다. 내 속 어딘가에는 체득하지 못한 지식이 있다. 경험, 관찰, 그리고.. 죄책감의 조합 만으로 풀 수 있다. 트라우마. 실패를 통해서 나는 배울 것이다. 그런 논리라면, 죽음을 통해서는 배울 것이 많겠지.

공책을 이야기하는 소녀와 별나게 생긴 존재들을 만나고 헤어지면서 나는 조금씩 배우고 기억해낸다. 어른이 되어 깨어난 나는 아마 원본이 아니다. 내가 있는 곳은 어떤 배, 심하게 망가진 우주선이다. 사는 것도 문제고 왜 사는지 알아내는 것도 문제다.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