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Night Sessions – Ken Macleod

스코틀랜드 작가 켄 맥클라우드의 소설 야간설교 The Night Sessions는 제정분리에서 더 나아가 종교가 숨은 스코틀랜드를 무대로 한다. 대대적인 종교 전쟁 the Faith Wars 이후 종교가 정치, 정부 등 공적인 공간에서 배제되고 외면되는 미래. 폭발사고의 희생자가 신부로 밝혀지고 또 다른 사건이 이어지면서 애덤 퍼거슨 경위는 젊은 시절 the God Squad에서 종교인들을 잡아들였던 기억을 떠올린다.

“나는 성경을 믿어요” 캠벨이 말했다. “그건 창조, 대홍수, 그 일들이 일어난 일시를 믿는다는 뜻이죠. 물증을 찾는 것은 건방진 일이라고 생각해요.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을 믿어야합니다.”
“그러면 홍수가 남긴 것이 화석이라고 생각하지 않나요?”
“네.”
“그러면 어떻게 설명할래요?”
“설명할 필요가 없어요. 그렇지만 그게 동물의 유해라는 것은 추정이라고 지적할 수 있지요. 암석 속에서 발견한 것은 뼈 모양을 한 돌인거죠.”

Go를 뺀 오글 Ogle 검색. 안경이나 렌즈로 AR을 쓰고, 생각하는 로봇, 우주 승강기가 있는 미래이지만 사회나 사람은 거의 그대로여서 근미래 소설인 셈이다. Continue reading

The Avengers – Joss Whedon

조스 위든이 감독한 어벤져스 The Avengers는 미국 만화의 영웅 캐릭터를 모은 영화. 단순한 이야기에 화려한 싸움장면이 이어진다.


마블 코믹스에서 내던 만화의 주인공들을 한데 모은 것이 어벤져스인데, 디즈니에서 흥행을 목표로 돈을 많이 들인 영화고 3D로도 나왔다.
Continue reading

Range of Ghosts – Elizabeth Bear

SF, 대체역사를 비롯해서 신화고전을 새롭게 엮어내는 솜씨를 보여준 엘리자베스 베어의 새 소설 유령산맥 Range of Ghosts은 칭기즈칸의 후예, 몽고 유목민 이야기다. 판타지 대하소설이랄까?

전설의 주인공 테무르 Temur가 활을 당기는 표지는 도나토 Donato Giancola의 작품이다.

몽고제국의 황제 몽케 칸(헌종)이 세상을 떠난 후 전쟁터에서 테무르는 눈을 뜬다. 역사에서는 성종이 될 주인공은 목에 칼을 맞고 죽다 살아나, 그 상처 덕분에 목숨을 건진다. 형 쿨란은 목숨을 잃었고, 살아남은 테무르는 자책한다.

테무르는 달이 뜨기를 기다렸다. 일몰 후의 암흑은 그에게 암울하기 그지 없었으나, 마침내 은빛이 드러낸 것은 더 나빴다. 잔혹한 그림자가 한 시신에서 다음으로 미끄러지는 것 뿐 아니라, 그 빛의 근원이. Continue reading

Jiro Dreams of Sushi – David Gelb

초밥 꿈을 꾸는 지로 Jiro Dreams of Sushi는 도쿄 지하철 상가에 자그마한 초밥 전문점을 운영하는 오노 지로 Jiro Ono에 대한 다큐멘터리 영화다.


팔순의 노인이 날마다 출근하고 큰 아들 그리고 직원 몇 명과 함께 일한다. 엄격하고 까다로운 지로는 자기 자신에게도 그렇다. 미슐랭 가이드에 별 셋을 받은 초밥집이지만 완벽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고된 일에 하루 만에 그만두는 사람도 있었다는데, 무술 도장 같은 도제 시스템은 힘들고 10년은 들여야 기본이 된다. 10년이 되어야 달걀 초밥을 만든다는 것이 의외.
Continue reading

Consent of the Networked – Rebecca MacKinnon

인터넷과 개인정보(신상? 사생?), 검열과 보안은 예민하고도 관심이 가는 주제인데, 현실의 정치와 온라인의 관계는 간단하게 판정하기 어렵다.

인터넷 자유를 위한 세계적인 분투 The Worldwide Struggle for Internet Freedom이라는 부제를 단 책 동의에 따르는 네크워크 Consent of the Networked를 알게 된 것은 아스 테크니카의 서평에서다. 눈길을 잡아끄는 얘기에 마침 도서관에서 책을 구할 수 있었다.

예약한 사람이 또 있어 대여 연장이 안된다. 다양한 얘기와 정보가 가득한데 대충 메모라도 일단 해야겠는데, 이 글과는 달리 책은 무척 좋다.

제목에 있고 본문에도 나오지만, 인터넷 자유란 뭘까.

인터넷을 통한 자유, 인터넷을 위한 자유, 인터넷 속에서의 자유, 인터넷에 연결할 자유, 인터넷의 자유.. 다른 개념 모두가 나름 의미를 갖고 사람들과 단체, 국가와 기업에 영향을 미친다.

레베카 맥키넌 Rebecca MacKinnon의 이력이 흥미로운데, 어린 시절 중국에서 살아보고 아시아에서 기자생활을 하다 학교로 돌아갔다.

제목 “Consent of the Networked”은 근대국가의 형성과정에서 등장한 동의에 따르는 통치 Consent of the Governed를 인터넷 상에서 국가권력, 자본권력, 네티즌 간의 문제를 풀어가는 화두로 삼은 것 같다. “동의에 따르는 네트워크”라고 위에 썼는데,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동의가 더 정확하다. 그걸 가치로 삼자는 얘기다.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