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yond the Hills – Cristian Mungiu

크리스티앙 문쥬 Cristian Mungiu의 루마니아 영화 Beyond the Hills를 보았다. 신의 소녀들이라는 제목으로 개봉되었던 모양인데 원제는 După dealuri. 언덕 너머 정도가 맞나 보다.

Beyond_the_Hills

신부 아버지와 원장 수녀 어머니. 언덕 위의 정교회 수도원은 다른 시간, 다른 세상 같다. 종교에서 우리가 원하는 것은 그런 안정감과 평온일까. 고아원 친구 보이치타를 찾아 온 알리나는 독일에서 홀로 힘들고 외롭게 살다 친구가 그리워 왔지만, 이 곳을 어서 벗어나고 싶다. Continue reading

Stonemouth – Iain Banks

stonemouth 이언 뱅크스의 소설 스톤머스 Stonemouth는 주인공 스튜어트 길모어가 5년 만에 고향 스톤머스, 스코틀랜드의 소도시를 찾으면서 시작한다.

머스턴 Murston 家와 매커베트 MacAvett 家가 합법/비합법적인 사업을 양분하고 있는 강 하구의 도시, 5년 전 머스턴 집안을 피해 달아났던 그가 조 머스턴의 장례식으로 돌아왔다.

‘야, 퍼그 Ferg 너 왜 한번도 연락 안했냐? 내가 떠난 후에 말이야? 너한테서 아무 소식도 듣지를 못했어. 인정하기 싫지만, 사실이든 상상이든(대체로 재미나게) 너 말고 모든 사람들의 단점을 까대는 의식이나 까칠하게 친한 척 하는게 그립더라.’

장례식은 월요일. 금요일 저녁부터 그는 옛 친구들을 만나고 이야기를 나누고 술을 마시면서 과거를 회상한다. 스물 다섯에 조명 전문 회사에서 갓 파트너가 된 길모어는 왜 도망치듯 고향을 떠났을까.
Continue reading

Sorry Please Thank You – Charles Yu

sorry please 간소한 표지의 단편 소설집, 찰스 유미안해요 부탁해요 감사해요 Sorry Please Thank You를 읽었다. 웹 페이지에서 흔히 보는 저 체크박스를 갖고 표지와 목차 등 살짝 재치를 부렸다.

캘리포니아 출신의 동양계 미국인인 작가는 담담하고 건조하게 일상적인 문장으로 SF를 쓰는데, 과학적 이론이나 화려한 상상력에 치중하지 않은, 정보 밀도가 낮은 그의 소설은 현대인의 정서에 가깝게 다가온다. 어려운 단어나 대중문화에 대한 배경지식이 없어도 읽기 쉽고, 실험적인 글도 난해하지 않다.

세상에 대한 우리의 지식은 이제 자신의 지식, 현상,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능가하는 시점에 이르렀다.
그는 이탤릭체로 말을 잘 한다.
우리의 능력은 무엇이 가능한가에 대한 직관을 따라잡았다, 아니 뛰어넘었다. 이 독백을 선내 스피커로 오천번은 들었고, 연설문 쓰는 사람이 썼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우주탐사를 상상하며 지원했던 날 징집사무소의 포스터를 보면서 느꼈던 감정을 조금 회상하고 약간 고무될 수 밖에 없다.

Continue reading

Silver Linings Playbook – David O. Russell

매튜 퀵의 첫 소설을 각색한 영화 실버라이닝 플레이북. 감독 데이빗 O. 러셀이 각색도 했다.

silver linings

정신병원에서 나온 남자 팻. 조울증의 폭발로 집과 직장 그리고 아내를 잃었다. 팻은 긍정적인 면을 찾고 노력하면 아내 니키와 재결합할 것이라고 믿는다. 소설 ‘무기여 잘 있거라’의 행복하지 않은 결말에 격분하여 책을 내던질 정도. 지푸라기를 잡듯 그 절박함이 어리석고 답답하지만 감동적이다. 운동경기처럼 좋은 작전을 잘 구사하면 성공할 것이라는 의미의 제목이 그 이야기다.
Continue reading

Fractal Prince – Hannu Rajaniemi

fractal prince한누 라야니에미의 양자도둑 이야기 2편은 프랙탈 왕자 Fractal Prince.

정신을 업로드한 미래, 태양계를 장악한 소보르노스트는 육체를 떠난 정신, 고골의 집합체다. 행성 크기의 시스템 구버니야 gubernia 속에서 자신들을 반복하여 실험한다. 태양계 외곽에는 오르트 성운의 전사들과 게임에서 나온듯 개조한 조쿠가 있다.

소보르노스트 설립자 가운데 하나인 펠레그리니는 주인공 쟝과 과거의 인연이 있었던 것도 같은데, 숨기는 것도 원하는 것도 많다. 자유를 얻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하나? 과거의 자신들에게서 감추었던 진실을 찾아냈으나, 이번에는 상자를 여는 것 부터.

사냥꾼이 나를 찾은 날, 나는 슈뢰딩거 상자에서 유령 고양이들을 죽이고 있다.
테슬라 코일의 스파크처럼 q-도트 실타래가 내 손가락에서 선실 가운데 떠 있는 칠한 작은 나무 상자로 이어진다. 뒤 편 완만한 곡면의 벽에는 하이웨이가 보인다. 암흑에 별을 붓질한듯 끊임없이 강처럼 흐르는 우주선과 생각조각. 우리 배 퍼호넨은 화성에서 지구로 흐르는 태양계의 중력 동맥 지류를 따르고 있다.
나는 입술에서 땀을 핥는다. 시야에 양자 프로토콜 도식이 거미줄을 친다. 퍼호넨의 수학 고골들이 내 머리 속에서 속삭이고 중얼거린다. 너무 인간적인 뇌와 감각을 돕고자 문제를 기목세공, 일본 퍼즐 상자로 옮긴다.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