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rtual unrealities – alfred bester

virtual unrealities 빈티지에서 1997년 나온 베스터의 단편선은 robert silverberg의 소개말로 시작한다.

내가 처음 베스터를 접한 것은 나가이 고의 만화 ‘타이거!타이거!’ 였는데, 조잡한 번역판은 끝까지 이어지지도 않았지만 어린 기억에 강렬했다.

이제 보면 그의 단편도 과장되고 거창하고 허세는 가끔 실없다. 빈티지판의 편집도 자랑할 것은 아닌데, 이게 원래 문제가 있던건지 더 는건지는 모르겠다. 어쨌거나..
Continue reading

the panic hand – jonathan carroll

the panic hand - stories1995년 나온 단편 모음. 잿빛 하늘에 커다랗게 입을 벌린 자동차와 송전탑, 덩치 좋은 사내들과 개가 그려진 표지는 괜찮은 편이다. ‘왜 그런 표지를 골랐소?’라는 물음을 받을 경우는 아닐듯.

아침부터 시동을 걸자 에어백 경고등이 인사를 하더니, 날씨도 그렇고 교통도 그렇고 뭐 하나 뜻대로 마음대로 되지 않는 하루였다. 막연한 생각을 제대로 풀고 옮기지 못하는 입과 손발을 보는 답답함이야..
Continue reading

한국 팝의 고고학 1960, 1970 – 신현준 外

신현준을 중심으로 60, 70년대 우리나라 대중음악의 이야기를 모아 정리한 책이다. 1권은 한국 팝의 탄생과 혁명, 2권은 한국 포크와 록 이라는 부제를 붙이고 있다.

가요도 한국 대중음악도 아니고 한국 록도 아닌, 한국 팝이라는 낱말을 고르게 된 저자의 생각은 첫머리에 실려있다. 굳이 동의할 필요는 없지만, 고고학이라는 말도 계보나 비평을 떠나 다양하고 미시적인 사건들을 찾고 모은 작업을 가리키게 된다.

Continue reading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한국민주주의의 보수적 기원과 위기) – 최장집

democracy after democratization초판은 2002년, 개정판이 작년에 나왔다. ‘나는 민주화 이후 한국사회가 질적으로 나빠졌다고 본다.’ 로 시작하는 ‘이 책을 쓰게 된 이유’ 은 간결하고 명료한 서문이다.

사회에서 아직 씻기지 않은 냉전반공주의, 대표된 정당체제와 대표되지 않는 사회 간의 균열은 수긍이 간다. 0.2%의 공간에 20%가 넘는 인구가 몰리고, 각종 자원을 끝없이 빨아들이는 서울은 문제의 근원은 아니지만 불균형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되지는 않는 일이다.

헌법이 위에서 만들어졌듯, 민주화는 운동에 의해 주도된 셈인데. 강력한 국가가 총동원체제로 나라를 몰고갔던 체제에 대한 향수는 억압과 통제를 부르고 있는걸까? 정치와 기득권이 일치하지 않고 정부가 자본과 정보에 대한 통제를 상실하자 관료와 언론, 재벌은 더 이상 구속당하지 않는다.

Continue reading

the prestige – christopher priest

priestige영국 작가 christopher priest 의 1995년 작, 작년에 페이퍼백으로 미국에 다시 나왔다. 1995년 당시 5년 만에 나왔던 이 소설을 두고 david langford 가 인터뷰를 했다.

prestige 라는 낱말의 근원은 단단히 묶는다는 중세 불어라는데, 마술/환상의 속임수에서 사람들의 명망이나 명성으로 의미가 넓어진 것도 흥미롭다.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