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hegaala – steven brust

제갈라 스티븐 브루스트의 탈토스 연작물의 장점 가운데 하나는 주인공이다. 뻔뻔하고 닳았지만 원칙이 있고 거칠고 고집이 세며 말이 많고 솔직하기도 하다. 닥터로우의 말을 빌면 ‘호감가기 십상’이다.

성체가 저렉을 닮은 제갈라는 알에서 깨면 다양한 변태과정을 거친다. 한가지 모양에 머무르지 않고 갈피를 잡기 어렵다. 이동, 변신, 배신.. 복잡한 세상사, 나름의 이유를 짐작할 수도 있겠지만 꼭 납득하기는 어렵다.

여기서의 문제는 “흑”요술사들이 정말 그랬다는 것이 아니다. 그들이 그럴 수 있다고 이 여자가 생각한다는 점이다. 이 “어둠”과 “빛” 얘기, 제지소가 많이 떠오른다. 구린내가 난다는 얘기다. 흑도? 백도? 누가 그런 식으로 생각을 하나? 누가 세상을 흑백으로 보나? 상식이 있는 사람이 믿을 얘기가 아니다. 이건 만만한 사람들을 속일 거리다. Continue reading

pirate freedom – gene wolfe

진 울프 Gene Wolfe는 30년이 넘게 글을 써온 노장 소설가다. 멋들어진 콧수염은 프링글스 칩과 무관하지 않은 모양인데. 그의 책을 읽기는 처음이다. 걸작은 아니겠지만

젊은 신부 크리스의 이야기는 300년 전 쿠바와 현재의 미국을 오간다. 해적선장 크리스와 신부 크리스. 실감나는 해적 이야기에 ‘보물섬’이 떠오른다, 아니면 ‘카리브해의 해적’? 크리스 역에는 자니 뎁 보다는 제임스 매커보이가 어울리겠다.

..해적과 마피아는 별반 다르지 않다. 하나는 바다에, 하나는 도시에 있다. 무엇보다 돈, 돈은 자유의 다른 의미다. 돈이 있으면 원하는 것은 거의 뭐든지 할 수 있다. (못 믿겠다면, 가진 자들을 보라.) 먹고 싶은 것을 먹고, 마시고 싶을 때 마신다. 원한다면 여자 두셋을 가질 수 있다. 늦잠 자고 싶으면 자고, 일할 필요가 없다. 양복을 열댓 벌 갖고 싶다면 갖고, 여행을 하고 싶다면 할 수 있다. 하고 싶은 일이 있다면 할 수 있다. 그러나 아무도 강요할 수 없다.
엄밀하게 해적과 마피아가 그렇다는 것은 아니지만, 거의 그렇다. 그것이 그들의 동기이기도 하다.

Continue reading

어떤 민주주의인가 – 최장집 박찬표 박상훈

어떤 민주주의인가 군사독재에 저항하는 운동과 민정을 거쳐 한국사회는 민주화되었다고 한다. 과연 그런가.

민주화에 대한 논쟁을 촉발시키기도 했던 최장집 교수와의 문답식 대담으로 엮은 총론은 읽기 쉽다. 1부에서 그는 절차적인 민주주의에 대한 논리를 정연하게 펼친다. 그리고 박찬표 교수가 법치 對 정치, 전문가정당 對 대중정당 등을 비교한 2부, 박상훈이 ‘정당 없는 민주주의’의 문제와 대안을 구하는 3부로 구성되었다.

최장집은 형식과 내용, 절차적 민주주의와 실질적 민주주의로 구분하는 이해를 경계한다. 보통선거와 투표가 이루어진다고 전부가 아니다. 유권자들이 문제에 대한 의견을 자유롭게 제시하고, 대안으로 제시된 사안에 대해 ‘계몽된 이해’를 가질수 있는가가 자신의 투표가 얼마나 효과적인 것이 되느냐와 직결된다. FTA, 대운하, 미국고기 수입 등을 생각해보면 어떤가?

정치란 갈등을 없애는 것이 아니라 민주적으로 제도화된 틀 안에서 경쟁하고 보통 사람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오는 집단적 활동이다. 갈등을 외면하고 부정하는 것이 아닌 이런 활동을 통해서 사회 내의 갈등이 해소될 가능성이 높다. 정치를 비효율적인 낭비로 치부하는 행위는 민주주의를 무력하게 만든다. 근래 선거관리위원회나 법원, 헌법재판소의 사례에서 찾아 볼 수 있지 않을까.

미국식 ‘정치 개혁’이 가져온 원내정당, 정책정당, 개방형 국민경선제 등은 오히려 사람들의 정치 참여를 제약하면서 민주주의의 원리와 충돌하는 개혁이 되고 말았다. 지구당 조직과 연설회가 비용과 부패를 이유로 사라졌고, 이제 정부는 인터넷에도 재갈을 물릴 의지를 확실히 보였다.
Continue reading

the last colony – john scalzi

마지막 식민지 스캘지의 글솜씨는 여전하다. 1,2편에서 지구를 떠나 회춘과 모험을 겪은 주인공 페리는 식민지 행성 허클베리에 자리를 잡았다. 그를 다시 끌어내는 매끄럽다. 애매하지 않고 명료한게 스캘지의 장점이다. 세력다툼의 정치는 미국에서는 흔한 일. 찌르고 피하는게 기술이자 묘미다. 신 개척지 로어노크에서도 마찬가지다.

“지구의 후발국에서 온 개척자들은 우리같은 이점을 지니지 못했소”, 트루히요가 말했다.
옆에 앉은 사비트리가 긴장하는 것을 느낄수 있었다. 식민연합 CU이 개척사업을 전담하기 전 서방국가들에서 비롯된 구개척지들의 거만함은 언제나 그녀를 경악케 했다.
“어떤 이점 말인가요? 존과 나는 ‘그 개척자들’과 후손들과 함께 7년을 살았습니다. 여기 있는 사비트리 처럼. 이 자리에 앉은 여러분에게서 특이할 만한 이점은 느끼지 못하겠는걸요.” 제인이 말했다.
“어쩌면 내 표현이 부족던 것 같소.” 트루히요는 유화적으로 칼을 틀었다.
Continue reading

jc homepage updated

캐롤의 홈페이지가 새 단장을 마쳤다.
새 책 ‘사랑에 빠진 유령 the Ghost in Love’의 미국 발간에 맞추어 순회도 할 예정이다.

닐 게이먼의 소개글 일부를 옮긴다.

8년 전 쯤 나는 조나단 캐롤, 데이브 맥킨, 몇몇 친구들과 저녁을 함께 한 적이 있다. 여태 기억이 나는 것은 음식이나 대화가 아니다. (나중에 벌집에 입맞추기에 나올 조나단의 경험담은 기억이 난다만) 내가 기억하는 것은 조나단 캐롤 인물들 사이에서 조나단 캐롤 인물 하나가 되는 과정이다. 우리는 재치있고, 지혜롭고 빛났다. 똑똑하고 아름다운 남녀. 우리는 예술가, 창작인이요 마법사였다.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