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제력 배운 애가 나은 어른 된다? – ars technica

어린 시절과 어른의 되어서의 삶과의 연관은 흥미롭다. 떡잎으로 알아보았던 미래가 펼쳐지든, 평범한 일상으로 이어지든, 뜻밖의 전환을 찾든. 아스존 티머 John Timmer가 요약한 연구를 옮겨본다.

Learning self-control as a kid makes for a better adulthood

유년시절에 일어난 일은 평생의 괘적에 영향을 미친다. 가족의 경제적인 신분과 아이의 IQ 같은 요소들은 건강에서 경제적인 안정까지 성인이 되어서의 복지와 연관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요소들은 바꾸기 어렵다. 힘든 배경을 극복하는 사람들의 비결은 무엇일까, 더 널리 나눌수 있는 것일까? 그것이 1000 명이 넘는 아이들을 32세까지 쫓아간 연구팀의 물음이었다. 그 결과는 퍽 간단하다. 애들에게 자제력을 좀 가르치자.

뉴질랜드 더네이든에서 태어났고 더네이든 건강 및 발달 연구에 등록한 이 아이들은 32년이 지나서도 96%가 보고를 계속했다. 친구, 선생님, 부모, 아이들 본인이 신체 및 정신적인 상황에 대해 보고했다.
전문가들의 정신과 및 의학적 검진까지, 아이들의 발달 전반에 대한 포괄적인 시각은 주목할만 하다. 지난 10년만 해도 수백 건의 논문이 산출되었다.

최신의 연구는 자제력에 중심을 두었는데, 이는 저자들의 주요 관심사인 것 같다. “만족을 미루고, 충동을 제어하고, 감정적인 표현을 조절할 필요는 사회가 아이들에게 공통적으로, 일찍부터 요구하는 일이다.” 빚을 갚고, 중독을 피하는 등, 그런 부류의 자제력은 성인이 되어서도 중요한 요인이 된다. 또한, 자제력은 평생을 통해서 변화할 수 있고, 학습할 수도 있다는 징후가 있다고 언급한다.
Continue reading

쳇바퀴를 벗어나 행복을 찾기 – ars technica

아스 테크니카 ars technica케이트 쇼 Kate Shaw가 정리한 독일의 심리학 연구가 재미있다.

Getting off the “hedonic treadmill” and getting happier

행복에 관한 최근의 연구 추세에 따르면, 우리는 선택에 무관하게 평생 같은 수준의 만족도를 이어갈 운명이다. 결정점 이론 혹은 “쾌락의 쳇바퀴 hedonic treadmill” 가설이다. 그러나, 행복에 관한 한 새로운 장기 연구는 행복이 인생의 선택과 연관되어 있으며 크게 바뀔 수 있다고 시사한다.

1984년부터 매년 6만 명 이상을 대상으로 지금까지, 독일 사회경제 위원회 SOEP의 자료를 토대로 한 이 연구는 대상 가구의 전원을 조사했다. 한 집에 한 사람도 아니고, 분가하면 그 일가도 다 조사했다고 한다.

결정점 이론에 따르면 쾌락의 쳇바퀴에 붙어있을 25~64세의 대상자들. 해마다 인생에 대한 현재의 만족을 1에서 10까지 매겼다. 다른 설문과 함께 몇 년을 거쳐 삶의 만족도의 변화와 개인적인 결정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볼 수 있었다.

Continue reading

행복을 살 수 있습니까? – nytimes

‘지름’이라는 말이 기하학이 아닌 구매, 특히 충동적인 소비를 가리키게 된 것은 언제부터일까. 홈쇼핑과 인터넷이 생활에 침투한 21세기가 맞을까. 지름에는 종종 후회와 번민이 따르고 그 과정은 되풀이되기도 한다. 문명국에서는 꽤나 보편적인 현상이 아닐까. NYT의 스테파니 로젠블룸의 기사가 흥미롭다.

But Will It Make You Happy? – NYTimes.com

방 2칸 아파트. 자동차 2대. 수십 명을 대접할 만큼의 혼수 식기.

그러나 태미 스트로블은 행복하지 않았다. 데이비스에 있는 투자관리 회사에서 프로젝트 관리자로 일하며 연봉 4만불을 벌던 시절, 자신의 표현을 빌자면 그녀는 “일-소비의 트레드밀”에 잡혀있었다.


어느날 그녀는 내려왔다.

간소한 삶을 말하는 책들과 블로그에 감화된 그녀와 남편 로건 스미스는 가진 물건 가운데 자선단체에 기부할 것을 찾기 시작했다. 몇 달이 지나자 스웨터, 신발, 책, 남비와 팬, 심지어 TV도 옷장에 넣는 실험 후 떠나갔다. 종내에는 자동차들도. 개인물품 100가지로 살기에 도전하라는 한 사이트에 용감해진 스트로블氏는 화장품과 옷가지를 줄여 그 숫자를 맞추고 말았다.

어머니는 그녀가 미쳤다고 했다.

Continue reading

flickan som lekte med elden – daniel alfredson

스티그 라손 원작의 밀레니엄 2편, 불장난한 여자 The Girl Who Played with Fire가 개봉했다. 감독이 바뀌었다. 예산이나 제작상의 변화일까.

선악을 단순하게 가를 수 없는 인간의 어두움. 법의 사각에서 희생되는 동유럽 여성문제를 취재하던 다그 커플이 무참하게 살해된다. 문제의 기사가 발표되는 것을 막으려는 것일까, 누구일까. 현장에서 발견된 권총의 지문은 밀레니엄의 편집장 미켈 블롬크비스트를 더 궁금하게 한다.

Continue reading

인터페이스, 느껴질까 말까한 감각을 찾아서

줄서기에 경쟁마, 안테나로 화제가 되는 아이폰 4. 1세대 아이폰에서 옮기는 입장에서는 시원시원하다. 보기에 좋은 알루미늄은 미끄럽기도 했는데, 강화유리는 손에 붙는다. 싸늘함이 덜하다. 시동은 별 문제 없고, 설정을 잘 챙겨서 옮겨준다. 주소록, 메일, 앱과 음악. 통화기록과 화면 밝기까지. 비밀번호와 잠금은 제외했다. 되풀이할 필요가 없고, 다시 설정할지 모른다는 배려라면 세심도 하다. 스피커 소리가 커졌다. 알람으로는 아쉬울 데가 없다.

짧은 제품 주기를 가진 휴대전화는 유행상품이다. 디자인과 광고를 통한 이미지가 중요하다. 고장나거나 잃어버리거나 그저 싫증이 나는 수도 있다. 신제품을 한 해에도 몇가지나 내놓아야 하는 상황에서 장기적인 투자/계획은 어렵다. 아니, 필요하지 않은 것이 아닐까? 심비안이나 윈도우모바일 등을 선택하고 비교적 작은 투자로 빨리 기획하고 내놓는 사업구조이기도 하다. 이런 면에서 WM, 안드로이드, 바다를 다 찔러보는 삼성의 전략은 단기적으로는 말이 된다.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