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 dolce video – nytimes

자본주의, 신자유주의에 따르자면 사업은 키워야 하고, 커야 산다. 먹고 먹히는 육식정글, 프렌차이즈가 유행 아니던가. 외식업, 유통업, 교육 등등. 거대하고 화려한 마트에 구멍가게는 버틸 수 없다.

그러나 다수의 선택이 모든 사람을 행복하게 할 수는 없다. 다수결을 민주주의의 기본이라 믿는 이들도 있지만, 그들은 대세와 일치하는 코드를 타고난 행운아일지도 모른다.

크지 않고 변하지 않고 생존할 수는 없을까? 다양한 색깔이 자리를 찾는 뉴욕에서도 쉽지 않은 모양이다. 아니면 없는 곳 없는 인터넷의 물결을 원망하랴. NYT에 난 소피아 홀랜더의 기사, 김氏네 달콤한 비디오 이야기가 흥미롭다.

La Dolce Video – NYTimes.com

건장한 한국 이민 김용만氏가 뉴욕 이스트 빌리지에 비디오 대여점을 연 것이 1987년, 다양한 8000여 영화가 있었다. 독특한 영화에 돌아선 이도 있었지만 모험심 넘치는 단골들이 늘어 다른 곳에서 찾을 수 없는 영화들로 55000개로 늘었다. 인터넷의 강자 넷플릭스 Netflix가 등장하기 전까지.

90년대 전성기 20만 명을 넘던 고객이 작년 말에는 고작 1500여 명이 단골로 남았다. 컬트 팬들이 있었으나 대부분 추억을 간직하고 떠나간 것이다. 지난 9월 그는 공개 도전장을 냈다. “지난 20년 간 김氏네를 성원한 고객들에게 소장영화를 열어줄 후원자를 구합니다.” 세가지 조건이 있었다. 소장품을 유지하고, 추가하고, 회원 및 대중에게 개방할 것. 많은 신청에도 불구하고 조건을 만족하는 것은 없었다. 단 하나를 제하고서.
Continue reading

민주화 20년, 지식인의 죽음 – 경향신문 특별취재팀

지식인의 죽음 황무지에서 혼자 살아가지 않는 이상, 인간은 사회적인 동물이다. ‘지식인’이라는 말에는 단순하게 많이 배우고 안다는 뜻을 넘어 개인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가치가 부여된다. 인터넷 포탈의 지식인 말고. 이동걸 원장 같은 사람도 있다.

1,2,3장에 한국의 지식인 풍경과 문제가 정리되어 있다. 취업에 유리한 공부를 하는 학생, 대학의 교수 평가 방식의 한계, 학술진흥재단대학의 문제. 국가, 기업의 학술 지배와 그로 인한 지식인의 종속 문제를 박노자는 ‘지식 노동자’라는 말로 축약한다.
4,5장에서 정치권력, 경제권력과의 관계와 영향을 본다. 박정희에서 노무현까지 정권에 참여한 주요 지식인 출신 장관을 정리한 표는 볼 만 하다. ‘직업이 장관‘인 사람들도 눈에 띈다. 정권이 바뀌고 사회가 달라져도 변하지 않는 위력.

신문에 비해 지면의 여유가 생기니 김우창 교수의 글이 돋보인다. Continue reading

sing for you – tracy chapman

트레이시 채프먼 Tracy Chapman의 최근 노래 “Sing for You”가 좋다. 단순하고 쉬우면서도 깊이가 있다. 라디오에서 몇 번 들으니 기억에 남는다.

아일랜드 밴드 구겐하임 그로토 Guggenheim Grotto를 알게 된 것은 3hive에서다. 포크/발라드랄까, 멜로디, 하모니, 감성이 예쁜 밴드다. 새 노래 “Her Beautiful Ideas”의 비디오가 아름답다.

일자리, 쉴 집, 학비, 의료비 뭐 하나 희망을 주는 일이 드무니 작정하고 밝은 노래의 가치가 있다. 모자 쓴 방랑청년 제이슨 므라즈 Jason Mraz의 “I’m Yours”도 좋겠다.
Continue reading

the album leaf @both – 01/28/2009

시애틀에서 온 아노미 벨 Anomie Belle이 시작을 했다. 시애틀의 이 맘 때 날씨와는 달리 맑은 해를 보아서 좋다고.

anomie belle #1 - toby campbellanomie belle #2 - aileen paronanomie belle #3 - anna-lynne williams

샌디에고 6인조 블랙 맘바 Black Mamba. 위키에 의하면 아프리카의 무서운 독사인데 검지는 않다. 입이 새카맣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라고. 같은 이름의 다른 밴드들이 더 찾기 쉬운데 그건 오래되지 않은 탓이다. 노래하는 에이미 산체스 Aimee Sanchez가 귀엽다. 풋풋한 비치하우스랄까, 의외로 좋았다. 아직 앨범은 나오지 않았다.

black mamba #1black mamba #2black mamba #3

앨범리프 The Album Leaf는 포스트락 밴드 트리스테자 Tristeza의 기타리스트 지미 러발 Jimmy LaValle의 프로젝트. 다루는 악기도 많고 곡도 쓴다. 언제 어떻게 접했는지 기억이 나지 않지만 앨범 ‘One Day I’ll Be On Time‘을 갖고 있다. 나른하게 반복되고 늘어지는 앰비언트.

the album leaf #1 - matthew resovichthe album leaf #2the album leaf #3 - jimmy lavalle
다섯 명이서 펼칠 수 있는 소리의 폭은 넓다. 드럼, 베이스, 기타로즈, 무그 등등 몇가지 신디사이저, 바이얼린, 녹음 스튜디오라도 될 것 처럼 켜켜이 쌓아둔 장비까지 있으니. Continue reading

waltz with bashir – ari folman

사나운 개 26마리가 달려드는 꿈. 거듭되는 악몽에 시달리는 친구의 이야기로 영화가 시작된다. 감독인 아리는 1982년 레바논 전쟁에 같이 복무했던 자신의 기억이 비어있다는 것에 놀란다.

waltz with bashir

아리 폴먼바시르와 왈츠를 Waltz with Bashir애니 다큐멘터리 animated documentary다. 감독의 말에 따르면 경제적인 구속없는 표현의 이점과 함께 소설로는 할 수 없는 이야기였다. 정치적인 영화가 아니며 개인적인 이야기, 전쟁의 무익함을 이야기하고 싶었다고 한다.

인체에는 보호본능이 있어 아픈 것을 피한다. 견디기 힘든 사실을 부정하고 두려우면 눈을 감는다. 기억이란 놀랍지만 속이기 쉽다. 아리의 기억 속에 전쟁의 경험이 없다면 그 까닭은 무엇일까. 당시를 같이 경험했던 사람들과 자료를 찾는 여행이 펼쳐진다.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