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ghost in love – jonathan carroll

샌프란시스코 서점 북스미스에서 캐롤의 낭독 및 서명 행사가 있었다. 주차하고 조금 걸어 서점 앞에 당도하자 키가 큰 아저씨가 뿔테 안경에 검은 양복을 입고 들어간다. 캐롤이다! 캐롤과 책방 주인이 인사를 나누는 동안 그 옆 계산대에서 새 책 ‘유령의 사랑 Ghost in Love’을 샀다.

캐롤은 점잖고 부드러운 사람 같았다. 그의 글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 이게 사람을 보고 나서 글을 보고 드는 생각인지도 모른다. 낭독과 서명을 위해 온 팬들이 그렇게 많지는 않았다. 새 책을 작가의 목소리로 듣는 것은 소중한 경험이다. 키 큰 랜디스, 유령, 개 파일럿의 이야기를 듣고 있던 다른 사람들도 그렇게 느끼지 않았을까.

JC at Booksmith, SF JC at Booksmith, SF

? – 복잡한 이야기를 짧은 영화로 옮기는 것을 보면 놀랍다. 어떻게 그렇게 할 수 있을까?
C – 모르겠다. 정말로. 두 가지 유형의 작가가 있다고 한다. 무엇을 어떻게 쓸지 알고 쓰는 사람과 쓰면서 알게 되는 사람. 나는 후자다. 첫 장을 쓰고 그 책에 자연스러운 안에서 이야기를 쓴다. 첫 소설 ‘웃음의 나라’에서 개가 말을 하는 구절이 그 예가 되겠다. 쓰면서 ‘아하!’ 하고 그게 말이 된다고 깨달았다고 할까. 질문으로 돌아가서, 그럴듯 하게 들리는 대답을 할 수도 있겠지만 솔직히 나는 모르겠다. 개를 데리고 산책을 가는 것과 비슷하다.
(비슷한 질문에) 결말을 미리 알지 못하지만 쓰다보면 끝이 가까와지는구나 하게 된다. 결말로 불평도 듣곤 하지만 인생이 뭐 황혼의 바다 장면으로 끝나나.
(6부작의 무대가 엮이게 된 것도 비슷한 이유로 설명했다.) 따로 따로 이야기이지만 저기도 요기도 나오는 인물들. 이야기 속의 인물 후일담이 궁금해지는 경우도 있지 않은가. (하나하나 독립된 이야기면서 연결이 되는 책을 예로 들었는데, 기억이 안난다.)

? – 이번 소설을 쓰게 된 동기가 있나.
C – 예전 헐리웃에서 일했을 때 부터 스크루볼 연애담을 쓰고 싶었다. 그 공식이 삼각관계다. 내 취향으로 쓰자니 남자, 여자, 유령 이렇게 되었다.

Continue reading

city at the end of time – greg bear

그렉 베어의 신간, 시간의 끝에 선 도시. 슬라이드 쇼가 영화 같다. :p

잠 못 이루는 시애틀, 머나먼 미래의 도시를 꿈꾸는 잭과 지니. 어둡고 암울한 칼파에서 고대인류를 되살리려 만들어 낸 구인류 제브러시 Jebrassy, 티아드바 Tiadba와 꿈을 나눈다. 대니얼은 꿈을 꾸지 않는다. 아니, 공허한 암흑을 꿈꾼다.

이들의 공통점은 이상한 돌멩이 섬-러너 sum-runner. 그 보석을 가진 운명 바꿈이들을 쫓는 운의 도박사들이 있다. “시간의 끝에 선 도시가 꿈에 나옵니까? Do you dream of a City at the end of Time?” 라는 광고로 돌을 가진 자들을 꼬인다.

현실을 피해 다른 상황으로 옮겨갈 수 있는 능력에도 불구하고 잘못된 선택을 거듭해 온 지니는 낡은 창고에서 책을 모으는 노인 비드웰의 조수로 일하게 된다. 책 속의 이상을 찾는 묘한 일. 아무도 보지 않고 읽지 않는 동안 뜻이 바뀐 책들.

Language is as fundamental as energy. To be observed, the universe must be reduced – encoded. An unobserved universe is a messy place. Laguage becomes the DNA of the cosmos.

늙은 노숙인 그레인저의 몸으로 옮긴 자신을 발견한 대니얼. 산 쥐로 저글링을 하는 잭. 잭을 쫓는 글로커스. 칼파에서는 구인류 탐험대가 혼돈 속으로 잃어버린 도시 나타라자를 찾아 떠난다. 소리없는 자들과 탐험대들의 메아리, 위험 속으로.
Continue reading

삼성왕국의 게릴라들 – 프레시안 특별취재팀, 손문상

삼성왕국의 게릴라들 해방 이후 적산재산 불하, 차관과 관치경제를 통해 형성된 재벌. ‘민주화’와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정부의 통제는 약해졌으나 자본에 대한 규제는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정관계에 광범위한 로비를 이어온 재벌들의 영향력은 엄청나다. ‘삼성공화국’이라는 말처럼.

치밀하고 교묘한 無노조 경영. 경영권/지배권의 승계를 위한 편법과 기묘한 지배구조.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 유출 사고와 어마어마한 미술품 수집. 국세청사법부의 관대한 처분은 계속된다.

우리는 지는 데 익숙하다. 외로운 데도 익숙하다. 아무리 소리치고 머리 깎고 굶어도 사회는 꿈쩍도 안 한다. 우리는 열매를 보고 하는 게 아니다. 봄이 됐으니 씨 뿌리고 밭을 가는 것이다.

달걀로 바위를 때리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lord tophet – gregory frost

그림자다리 하편. 바드섐의 동료이자 레오도라의 스승 소터가 숨겨온 비밀이 밝혀진다. 용사발 dragon bowl에서 신의 부름을 받은 레오도라는 ‘선택’을 해야한다. 무얼 고르는지 모르지만 어쨌거나. 깨어나면 기억도 나지 않는다나.

왜냐면, 인생의 커다란 퍼즐은 네가 답을 찾아야 하기 때문이지. 건네줄 수 없는 것이지, 네가 걸어야 할 패턴을 바꿀 정보를 줄 수 없다. 미로. 미도다. 호의로 모양을 바꿔놓을 수 없는, 네 것이야. 네 자질을 시험해야 하니 아무도 간섭할 수 없다. 게다가, 내가 한 말은 하나도 기억하지 못할 것이야.

바보의 다리 Pons Asinorum를 찾고 위험에 빠지는 동안 레오도라와 디베루스는 자신과 서로에 대해 더 알게 된다. 경간 마다 이야기를 찾고, 새로운 이야기를 모은다. 비슷한 이야기에 다른 이름의 인물이 나오기도 하고, 결말이 조금씩 다르기도 하다. 이야기 속의 이야기들 사이에 연관이 있을 것도 같은데, 숨은 고리를 찾는 동안 이들의 모험이 이야기가 된다. 처음부터 그러지 않았던가.

당신이 전하는 이야기 가운데 옛날 실재했던 누군가의 이야기가 얼마나 되는가. 그리고 돌멩이 몇 개가 다른 것, 가짜로 바뀌면서 이야기가 된다. 실재 인물과 그들의 이야기는 다른 길을 간다. 마치 갈림길 처럼. 우리 자신의 이야기는 단 한번 공연할 수 밖에 없지 않은가?

줄거리가 또렷하니 전편보다 선명하다. 여러가지 설화의 영향이 뒤섞여 있는게 개성이다. 거창하고 흥미로운 설정에 다양한 무대가 재미있다. 전체보다 조각이 더 반짝거리는 아쉬움. 특정 종교와 무관한 환상 성장물.

shadow bridge – gregory frost

그레고리 프로스트의 그림자다리 소설은 두권짜리다. 500쪽 좀 넘더라도 한 권이었으면 나았을텐데.

이야기고기 storyfish로 시작된 그림자다리의 세계. 망망대해에 다리가 이어진다. 경간 俓間|span마다 문화가 다른 기묘한 다리세계.

우리 가운데는 바보들이 있지. 너는 젊어서, 나는 술에 취해서. 그리고 약점에 굴복하지 않으려 애를 쓴다. 그러나 레아, 네 삼촌은 바보 중에서도 최악이야. 확신에 찬 바보. 자부심과 원한으로 확신하지. 누구의 말도 듣지 않고, 자기 논리에 집착할수록 더 틀리지. 더 독해지고.

그림자 인형극의 전설적인 존재 바드섐 Bardsham의 딸 레오도라 Leodora는 외삼촌네와 살았다. 촌구석 부얜 Bouyan에서 생선을 팔았다. 호기심과 재능은 피에 흐르는지 레오도라는 운명의 부름을 깨닫게 된다. 순종하지 못하는 용감한 주인공은 완고한 마을과 고루한 풍습을 깨트리고 여행길에 오른다. 이야기를 찾고, 또 들려주는 길에는 모험과 수수꼐끼가 그득하다. 다채로운 묘사와 이야기가 꼬리를 문다. 다리에 오르는 모험은 겨우 시작이지만.

니키 단조의 유령은 일본설화다. 그도 그럴 것이, 경간 이름이 백귀야행 Hyakiyako이니. 여우요괴 Kitsune와 너구리요괴 Tanuki가 바둑을 둔다.

도미노 가면으로 얼굴을 가린 잭스의 여행과 공연, 모험. 그리고 신이 내린 악사 디베루스를 만나게 된다. Vijnagar, Hyakiyako, Colemagne. 이야기 속의 이야기가 더 재미있다. 꿈, 이야기, 그림자, 인형극. 신화, 설화, 전설.. 이야기꾼과 이야기, 그 안팎에 대한 이야기. 뭔가 상징이 숨은 것 같은데 아쉽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