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을 생각한다 – 김용철

한국사회의 구조적 문제는 초재벌 삼성에서 드러나고, 삼성의 문제는 소유와 세습과정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세금을 피해 소유, 상속하고 의사결정의 책임은 지지않는 것이 지금의 삼성이다. 그 부담은 결국 전 국민이 지고 있다.

아들을 군대에 보내지 않았다는 이유로, 가장 유력한 대통령 후보를 선거에서 떨어뜨렸던 게 1997년 대선이다. 최소한 공인에 대해서는 엄격한 도덕과 원칙을 적용하려는 문화가 있었다는 뜻이다. 그런데 10년이 지난 2007년 대선 무렵에는 이런 문화가 씻은듯 사라졌다.

소속 집단에서 인정받기 위해 저지른 사회적 범죄가 무용담으로 통하는 사회. 공익을 위해 용기를 낸 내부고발자에게 더 가혹한 사회는 건강하지 않다.

한반도 대운하의 위험을 경고했던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김이태 연구원이 징계를 받았다. 또 국세청 내부 통신망에 한상률 전 국세청장을 비판하는 글을 올렸던 김동일 과장이 파면당했다. 이는 부패와 비리를 보더라도 무조건 눈감으라는 신호나 다름없다.

Continue reading

삼성왕국의 게릴라들 – 프레시안 특별취재팀, 손문상

삼성왕국의 게릴라들 해방 이후 적산재산 불하, 차관과 관치경제를 통해 형성된 재벌. ‘민주화’와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정부의 통제는 약해졌으나 자본에 대한 규제는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정관계에 광범위한 로비를 이어온 재벌들의 영향력은 엄청나다. ‘삼성공화국’이라는 말처럼.

치밀하고 교묘한 無노조 경영. 경영권/지배권의 승계를 위한 편법과 기묘한 지배구조.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 유출 사고와 어마어마한 미술품 수집. 국세청사법부의 관대한 처분은 계속된다.

우리는 지는 데 익숙하다. 외로운 데도 익숙하다. 아무리 소리치고 머리 깎고 굶어도 사회는 꿈쩍도 안 한다. 우리는 열매를 보고 하는 게 아니다. 봄이 됐으니 씨 뿌리고 밭을 가는 것이다.

달걀로 바위를 때리는 사람들의 이야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