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ing under – justina robson

going under 저스티나 롭슨의 양자중력 제3권, 밑으로. 알프하임, 디모니아에 이어 요정계로. 양자폭발 이후 6세계의 불안정한 상태는 존재하지 않는 제 7세계의 탓이라는데. 블랙의 가족사와 함께 조직의 서늘한 비밀이 드러난다. 아주 옛적 왕과 여왕의 다툼 이후 그 마법을 묻고 덮어 집단 망각에 빠진 요정계. 잭의 잃어버린 도시는 겨울, 황량하고 이질적이다. 동화보다는 괴담, 거칠고 사정이 없다. 상실의 이야기랄까, 소하를 잃고 다른 등장인물 몇과도 이별을 고한다.

오컬트가 아니라고 생각했는데 미지의 기술과 불가사의, 금속과 유기체의 융합, 마법, 연금술 사이보그가 나오면 에헤.. X파일과 고스트버스터스, 말세와 종교적 상징, 밀교와 첩보물, 성배와 아서왕, 피셔킹, 애정물과 심리분석.. 뭐 빠진게 있을까?

심장에 세든 엘프 강령술사가 있고 가는 곳마다 혹이 더 붙는 릴라. 억센 척 外剛內柔, 헷갈리는 마음일까. 불안정한 감정과 정신을 금속성 이성과 논리로 지탱하려는 릴라 블랙을 통해서 현대인의 심리가 묘사된다.

흥미를 더해가는 양자중력, 릴라 외에도 잴, 말라키, 티즐 등 인물들의 성격이 또렷해진다. 임프 띵가마직 Thingamajig의 독설에 웃지 않을 수 없다.
Continue reading

selling out – justina robson

selling out 알프하임에서 살아 돌아온 릴라 블랙의 두번째 모험. 물에 빠졌다가 나온 첩보원 블랙에게 주어진 임무는 불로 뛰어드는 것, 디모니아로 가게 된다. 교환 연구원으로 위장하고 엘프이면서 demon인 의 비밀을 찾으라는 것. 팝 스타이자 잴의 누이인 소하 Sorcha의 소개로 도깨비나라 같은 디모니아에 발을 딛는다.

Demon과 devil이 다른데 아주 오컬트물도 아니니 어떻게 구별할까. 사신 邪神과 귀신 鬼神? 찍어낼 수 없는 모든 것은 예술이 될 수 있고, 노력과 정성, 기교의 깊이에 따라 그 가치를 따진다는 엉뚱한 곳. 변덕스럽고 이기적이면서도 나름의 기준이 있는 사회에서 릴라는 혼란에 빠진다. 정당방위로 유력한 가문의 탕아를 살해하고, 쫓기다 사고에 부닥친다. 오토피아의 가족이 위기에 빠지고, 그녀를 도우러가던 잴은 주메논에 떨어진다.

“네 자신을 알라. 그리고 다 받아들여. 그것이 demon의 핵심이지. 바람을 타듯 삶을 타. 잡고, 사랑하고, 결코 놓지 않아. 그러다 놓지 않으면 삶이 그림자가 되어 약하고 두려움에 떠는 자의 산 죽음이 되거나 놓아야 하는 때가 오면 놓는거다. 망치기 전에 주저없이. 그것이 사신의 꼴로 빚어진 성스러움의 정수야.”
“팔아넘김 없이 No selling out” 릴라의 중얼거림을
“절대로 No selling out” 소하가 되받았다.

Continue reading

keeping it real – justina robson

keeping it real

저스티나 롭슨 Justina Robson의 양자중력 제1권 진실의 문제 Keeping it real. 철학과 언어학을 공부하고 자질구레한 일자리를 거쳐 전업작가가 되었다고 한다.

2015년 텍사스 양자폭발사건 6년 후, 여섯 세상 가운데 오토피아 Otopia가 무대다. 원소의 세상 주메논 Zoomenon, 엘프의 앨프하임 Alfheim, 악마의 디모니아 Demonia, 사후세계 타나토피아 Thanatopia가 나머지 다섯이다. Demon을 악마라고 해놓지만 이것 참 어정쩡하다, 어울리는 말은 무얼까? 사신?

과거도 육신(일부)도 잃어버린 전직 외교관 비서 릴라 블랙 Lila Black, 주인공의 개성이 강렬하다. 무쇠팔 무쇠다리, 온갖 무기와 센서로 무장한 수십억불의 여인. 특수요원 블랙의 첫 임무는 인기밴드 노쇼 The No Shows의 엘프 리더 잴 Zal을 암살 위협에서 지키는 것. 위협은 단순한 협박이 아니라 수수께끼 속에서 블랙과 잴은 화끈한 모험에 빠지게 된다.

Continue reading

민주화 20년, 지식인의 죽음 – 경향신문 특별취재팀

지식인의 죽음 황무지에서 혼자 살아가지 않는 이상, 인간은 사회적인 동물이다. ‘지식인’이라는 말에는 단순하게 많이 배우고 안다는 뜻을 넘어 개인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가치가 부여된다. 인터넷 포탈의 지식인 말고. 이동걸 원장 같은 사람도 있다.

1,2,3장에 한국의 지식인 풍경과 문제가 정리되어 있다. 취업에 유리한 공부를 하는 학생, 대학의 교수 평가 방식의 한계, 학술진흥재단대학의 문제. 국가, 기업의 학술 지배와 그로 인한 지식인의 종속 문제를 박노자는 ‘지식 노동자’라는 말로 축약한다.
4,5장에서 정치권력, 경제권력과의 관계와 영향을 본다. 박정희에서 노무현까지 정권에 참여한 주요 지식인 출신 장관을 정리한 표는 볼 만 하다. ‘직업이 장관‘인 사람들도 눈에 띈다. 정권이 바뀌고 사회가 달라져도 변하지 않는 위력.

신문에 비해 지면의 여유가 생기니 김우창 교수의 글이 돋보인다. Continue reading

escapement – jay lake

제이 레이크큰 태엽 Mainspring의 후편이 작년말에 나왔다. 이름하여 탈진기 脫進機 escapement, 시계를 움직이는 주태엽의 속도를 조절하는 부품이다.

지구는 거대한 시계. 북반구를 나누고 있는 것은 대영제국과 중화제국. 타고난 쟁이 파올리나 바르테스 Paolina Barthes, 반백의 사서 에밀리 칠드레스 Emily Childress, 바셋호 Bassett 상사였던 스레드길 알-와지르 Threadgill Angus al-Wazir, 놋쇠인간 보아즈 Boaz. 주류인생 아닌 이들이 톱니바퀴와 태엽으로 돌아가는 놋쇠 세상의 모험에 빠져든다.

천사의 계시를 받은 헤서를 모험길로 떠나보낸 칠드레스, 조용하게 살아온 그녀가 모험을 통해 용기를 얻는 모습을 응원하지 않을 수 없다. 엇갈리는 수수께끼와 비밀결사 사이에서 살아남는 일은 규칙을 배워가며 카드게임을 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사서가 된다는 것은 알 수 있는 모든 것을 아는 것이다.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