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가 권력이다

곧 5월인데, 국가보안법이 여전히 활개를 치고 있단다.
” 빨갱이짓 하다 죽었다고 유서 써라 ” – 오마이뉴스
5공 때 사건이 과거사정리위원회의 도움으로 빛을 보고 공판이 2009년 진행 중이다. asp 쓰는 데일리서프라이즈 사이트는 ‘컴퓨터에 해가 될 수’ 있다는데.

[세상읽기] 슬픈 연대 / 한홍구

김대중 정권 시절만 해도 6개월 정도면 어떻게 그렇게 오래 싸울 수 있냐는 소리를 들었지만, 지금은 1년째 싸우는 사업장은 장기투쟁 사업장 축에도 끼지 못할 처지가 되었다.

Information is power, 정보가 힘이라고 정보화 사회 운운했던게 20세기 일이다. 그래서 힘, 권력. 정권이 바뀌니21세기 대한민국에서는 정보과 공안과 이런 데가 어깨에 힘을 주나보다.

개인정보, 사생활 이런게 하찮게 여겨지고 국익과 돈 앞에서 가치를 찾기 힘든 것 같은데, 그게 또 법으로 이어진다. ‘정치’라는 말을 붙이면 다 그놈이 그놈이고 나빠질 수 밖에 없다면서도 사람들은 그 테두리 속에서 자신과 가족이 좀 더 위쪽에 있기를 바라고 애쓴다. 법 아래에서 ‘운영의 묘’를 행하고, 체제의 간극을 사람이 메우는 것은 노력이 덜 들고 빨라보이지만 지탱하기 어렵다. 하라고 하는 사람도 잘못이 있다고 하지만, 법과 조건의 문제를 개인의 문제로 돌리는 것은 아닐까.

최근 ‘정보 보호 정책’에 대한 온라인 교육을 받았다. 회사에서 하라고 하니까, 한시간 안되는 동안 브라우저를 올려놓고 읽다 듣다 클릭클릭. 회사에서 왜? 법이나 규정을 통해 개인정보의 관리에 대해 기업에서 노력을 하도록 요구하기 때문이다. 그게 다 법이고 정치다. 공무원/관료제(bureaucracy)와 정치인, 기술과 경제, 법과 사회가 그렇게 이어진다.

정보를 취급하는데 공정(이 말도 요즘은 미묘하다)하자면 개방성, 개인의 참여와 제어, 보안장치, 사용에서의 제한, 책임지기 등이 필요하다. (openness, individual participation & control, security safeguards, limits on use, accountability)

정보를 수집하기 전에는 누가 무엇을 어떤 목적으로 수집하며 당사자는 어떻게 수집된 정보의 사용을 제어할 수 있는지, 인가받지 않은 사용을 막기 위해서 어떻게 정보를 보호하는지, 개인이 정보의 사용에 대해 문의하고 고발하는 방법에 대해 고지해야 한다.

목적에 필요한 제한된 정보 만을 수집하고, 목적에 필요한 이상 보관해서는 안된다 Continue reading

심심풀이, 당신이 책이라면?

animal farm 조지 오웰동물농장이야!

권력은 부패하기 마련, 지도자는 전임자 만큼 나빠지는 법이라는 진리의 산 증인이 바로 당신. 이는 당신을 정서적으로 갈등하게 하고 정신 못차리는 이상과 비극적인 진저리 사이에서 헤매게 한다. 무엇보다, 돼지는 믿을 수 없다. 네 발로 기어다닐 때가 좋았던 것이여.

You’re Animal Farm!

by George Orwell

You are living proof that power corrupts and whoever leads you will become just as bad as the past leaders. You’re quite conflicted about this emotionally and waver from hopelessly idealistic to tragically jaded. Ultimately, you know you can’t trust pigs. Your best moments are when you’re down on all fours.

Take the Book Quiz at the Blue Pyramid.

the 21st century: faq – charles stross

21세기가 된지도 벌써 꽤 되었다. 전 지구가 이토록 밀접해질줄 몰랐다. 미래4년 고난이라니. 스트로스의 21세기 FAQ를 옮겨본다. 댓글도 흥미롭다.

Q: 예측할 수 있는 것은?
A: 매주 신과학자 New Scientist에서 읽는 것들.
기후변화
인구과잉이 낳은 경작과잉으로 인한 사沙폭풍 dust bowl
알려지지 않았지만 긴요한 분야에서의 자원고갈 (석유는 제외; 쉽게 채굴할 인산염은 60년 어치 뿐이다, 이게 없으면 비료는 없다)
개발도상국가들이 선진국처럼 인구증가를 조절하면서 일어날 우습지만 행복한 부대효과 – 디플레이션, 집값폭락, 고령화와 노동력 부족으로 인한 첨단연구의 침체
영장류의 밀집으로 인한 일반적인 말싸움

아, 알려지지 않은 미지를 빼놓을 수 없다. the unknown unknown

Q: 알려지지 않은 미지? 럼스펠드 말씀인가?
A: 아니, 전례없고 예측하지 못한 일() 얘기가 아니다. (중략)
21세기에 알려지지 않은 미지의 현상을 볼 것이 분명하다. 생명공학, 나노공학, 인공지능, 기후변화 그리고 컨테이너, 바코드, RFID 칩을 능가할 공급/보급 혁명, 정치 등에서 존재적 경이가 나오지 않을까. 그 외 짐작도 할 수 없는 괴이하고 이상한 일들이 나올 것이다.

Q: 흠, 큰 그림을 본다면?
A: 2005년 무렵 처음으로, 인류가 현저하게 도회적인 동물이 되었다. 이전까지 대다수는 시골에서 농업에 종사해 왔다. 그 이후 50%를 조금 넘는 이들이 도시에 살고, 도회화는 가속적이다. 추세가 이어진다면 2100후 인구분포는 영국과 비슷할 것이다. 대략 99%가 도시나 부도심에 사는.
이는 모든 것에 영향을 미친다.
역학, 부의 창출, 농경(수직농장 같은 고밀도 식량 생산, 버려진 시골이 야생과 자연으로 돌아가는 현상이라면 고무적이다). 동력, 이동수단, 정보 그리드 등의 설계와 배치에 영향을 줄 것이다. 인구분포(이촌향도, 농경사회보다 낮은 출산율).
65억의 인구가 창조적 도시에 사는 2109년과 도시에 33억 화경에 32억이 나뉜 2109년의 차이는 거대하다.

Q: 우주개척?
A: 꿈깨시라.
체제붕괴를 모면한다고 가정하면, 아마 월면기지는 생길 것이다. 누가 되었건 99.999%의 인류는 지구를 벗어나지 않을 것이다. 화성탐험까지는 가능하겠지. 의료상의 근본적인 변혁이나 물리법칙을 갖고놀 물리/공학적 전기가 없는 한, 원숭이통조림으로는 우주개척은 고사하고 목성까지도 가기 힘들다. (퉁명스러운 시각은 토성아이들을 보시라.)

Continue reading

la dolce video – nytimes

자본주의, 신자유주의에 따르자면 사업은 키워야 하고, 커야 산다. 먹고 먹히는 육식정글, 프렌차이즈가 유행 아니던가. 외식업, 유통업, 교육 등등. 거대하고 화려한 마트에 구멍가게는 버틸 수 없다.

그러나 다수의 선택이 모든 사람을 행복하게 할 수는 없다. 다수결을 민주주의의 기본이라 믿는 이들도 있지만, 그들은 대세와 일치하는 코드를 타고난 행운아일지도 모른다.

크지 않고 변하지 않고 생존할 수는 없을까? 다양한 색깔이 자리를 찾는 뉴욕에서도 쉽지 않은 모양이다. 아니면 없는 곳 없는 인터넷의 물결을 원망하랴. NYT에 난 소피아 홀랜더의 기사, 김氏네 달콤한 비디오 이야기가 흥미롭다.

La Dolce Video – NYTimes.com

건장한 한국 이민 김용만氏가 뉴욕 이스트 빌리지에 비디오 대여점을 연 것이 1987년, 다양한 8000여 영화가 있었다. 독특한 영화에 돌아선 이도 있었지만 모험심 넘치는 단골들이 늘어 다른 곳에서 찾을 수 없는 영화들로 55000개로 늘었다. 인터넷의 강자 넷플릭스 Netflix가 등장하기 전까지.

90년대 전성기 20만 명을 넘던 고객이 작년 말에는 고작 1500여 명이 단골로 남았다. 컬트 팬들이 있었으나 대부분 추억을 간직하고 떠나간 것이다. 지난 9월 그는 공개 도전장을 냈다. “지난 20년 간 김氏네를 성원한 고객들에게 소장영화를 열어줄 후원자를 구합니다.” 세가지 조건이 있었다. 소장품을 유지하고, 추가하고, 회원 및 대중에게 개방할 것. 많은 신청에도 불구하고 조건을 만족하는 것은 없었다. 단 하나를 제하고서.
Continue reading

sing for you – tracy chapman

트레이시 채프먼 Tracy Chapman의 최근 노래 “Sing for You”가 좋다. 단순하고 쉬우면서도 깊이가 있다. 라디오에서 몇 번 들으니 기억에 남는다.

아일랜드 밴드 구겐하임 그로토 Guggenheim Grotto를 알게 된 것은 3hive에서다. 포크/발라드랄까, 멜로디, 하모니, 감성이 예쁜 밴드다. 새 노래 “Her Beautiful Ideas”의 비디오가 아름답다.

일자리, 쉴 집, 학비, 의료비 뭐 하나 희망을 주는 일이 드무니 작정하고 밝은 노래의 가치가 있다. 모자 쓴 방랑청년 제이슨 므라즈 Jason Mraz의 “I’m Yours”도 좋겠다.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