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21st century: faq – charles stross

21세기가 된지도 벌써 꽤 되었다. 전 지구가 이토록 밀접해질줄 몰랐다. 미래4년 고난이라니. 스트로스의 21세기 FAQ를 옮겨본다. 댓글도 흥미롭다.

Q: 예측할 수 있는 것은?
A: 매주 신과학자 New Scientist에서 읽는 것들.
기후변화
인구과잉이 낳은 경작과잉으로 인한 사沙폭풍 dust bowl
알려지지 않았지만 긴요한 분야에서의 자원고갈 (석유는 제외; 쉽게 채굴할 인산염은 60년 어치 뿐이다, 이게 없으면 비료는 없다)
개발도상국가들이 선진국처럼 인구증가를 조절하면서 일어날 우습지만 행복한 부대효과 – 디플레이션, 집값폭락, 고령화와 노동력 부족으로 인한 첨단연구의 침체
영장류의 밀집으로 인한 일반적인 말싸움

아, 알려지지 않은 미지를 빼놓을 수 없다. the unknown unknown

Q: 알려지지 않은 미지? 럼스펠드 말씀인가?
A: 아니, 전례없고 예측하지 못한 일() 얘기가 아니다. (중략)
21세기에 알려지지 않은 미지의 현상을 볼 것이 분명하다. 생명공학, 나노공학, 인공지능, 기후변화 그리고 컨테이너, 바코드, RFID 칩을 능가할 공급/보급 혁명, 정치 등에서 존재적 경이가 나오지 않을까. 그 외 짐작도 할 수 없는 괴이하고 이상한 일들이 나올 것이다.

Q: 흠, 큰 그림을 본다면?
A: 2005년 무렵 처음으로, 인류가 현저하게 도회적인 동물이 되었다. 이전까지 대다수는 시골에서 농업에 종사해 왔다. 그 이후 50%를 조금 넘는 이들이 도시에 살고, 도회화는 가속적이다. 추세가 이어진다면 2100후 인구분포는 영국과 비슷할 것이다. 대략 99%가 도시나 부도심에 사는.
이는 모든 것에 영향을 미친다.
역학, 부의 창출, 농경(수직농장 같은 고밀도 식량 생산, 버려진 시골이 야생과 자연으로 돌아가는 현상이라면 고무적이다). 동력, 이동수단, 정보 그리드 등의 설계와 배치에 영향을 줄 것이다. 인구분포(이촌향도, 농경사회보다 낮은 출산율).
65억의 인구가 창조적 도시에 사는 2109년과 도시에 33억 화경에 32억이 나뉜 2109년의 차이는 거대하다.

Q: 우주개척?
A: 꿈깨시라.
체제붕괴를 모면한다고 가정하면, 아마 월면기지는 생길 것이다. 누가 되었건 99.999%의 인류는 지구를 벗어나지 않을 것이다. 화성탐험까지는 가능하겠지. 의료상의 근본적인 변혁이나 물리법칙을 갖고놀 물리/공학적 전기가 없는 한, 원숭이통조림으로는 우주개척은 고사하고 목성까지도 가기 힘들다. (퉁명스러운 시각은 토성아이들을 보시라.)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