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st in a supermarket, 소비의 고단함?

동전들고 사탕 부스러기 집을 때에는 내가 무얼 원하는지 알았는데, 시장이 超시장이 된 소비자 사회는 실로 혼란스럽다. 수퍼마켓 하면 떠오르는 노래, 클래쉬의 이 노래와 삐삐밴드의 것이다.

스스로 장을 보아야 하는 순간 부터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살 것인가, To buy or not to (if you dare not!) – 살 것이냐 말 것이냐 하는 문제를 피할 수 없다. 갈수록 자본주의의 본질로 가까와지고 같은 물건 같은데|인데, 가격은 다르고 뭐 이리 복잡한지. 너무 많은 선택은 혼란스럽다. 靜物은 아니더라도 느리게 산다는 것은 대사 패턴을 바꾸거나 하는 일이니 어렵다. 소비를 늘려 실패를 잊는 일은 요즘 경제적 상황에서는 어렵다. 그럼 마음을 바꾸는 일은?

인터넷, 전자상거래 해서 나아지는지 더 헷갈리는지 모르겠다. 널을 뛰는 환율은 더하고. 어쨌거나 의류건 전자제품이건 곤두박질하는 주가에 가격에 죽음의 세일이 이어진다고 한다. 삽질과는 어떤 연관이 있는지 모르겠지만, 연말연시 지갑을 잘 챙기시기를 :p
Continue reading

여성은 컴퓨터를 싫어한다? – nytimes

이공계 고등교육과 성적 편향에 대한 이야기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그럼 뭐가 새로울까, 랜들 스트로스 Randall Stross의 흥미로운 기사를 옮겨본다. 법조계 및 정치인과 검열, 교육에 관한 이야기는 아니다. :p

What has driven women out of Computer Science? – nytimes

어릴때 참가했던 컴퓨터 캠프의 남녀 비율은 왜 6:1일까, M.I.T.의 대학원생 엘렌 스퍼터스는 궁금해했다. 왜 M.I.T. 전산학부에는 여학생이 20% 뿐일까? 그녀는 여성이 그 분야를 멀리하게 된 문화적인 편견을 분류하여 124쪽 논문 “왜 여성 전산학자는 드문가?”을 발표했다. 1991년.

그 후로 전산(computer science) 분야는 괄목할 변화를 겪었다. 오늘날 전산을 선택하는 여성은 더 줄었다. 그 원인은 논의의 대상이다.

1991년 당시 여성 전공자가 적었던(under-representation) 까닭을 설명하는 일은 다른 기술 분야에도 적용된다는 것이 특히 곤혹스러운 일이다. 거의 모든 기술 분야에서 여성은 대체로 남성과 동등한 위치에 올라섰다. 과학, 기술 분야 전반을 고려해 보자. NSF 조사에 따르면 학사학위를 받는 여성의 비율은 1984-85 당시 39%에서 2004-5 51%로 올랐다.

그러나 전산 분야에서 여성의 비율은 낮아지고 있다. 2001-2년 전산학부의 여성비율은 28%였다. 2004-5년에 오면 22%. 컴퓨터연구협회의 자료를 보면 M.I.T.같은 연구중심 대학에는 여성이 더 적다. 미국과 캐나다에서 전산전공 학부생이 박사과정에 들어가는 비율은 2001-2년 19%에서 2006-7년 12%로 내려앉았다. 많은 전산학과에서 학부 신입생 가운데 여성은 10%가 채 안된다.

Continue reading

last good day of the year, 2008

11월 같지 않게 따사로운 며칠이었다. 지난 달 찍었던 필름을 맡기고 찾았다. 여름 내내 차에 갖고 다녀 조리개가 염려되었는데 괜찮은 것 같다. 지난번에 필름을 너무 오래 묵혀두었거나 들어있던 필름에는 어두운 곳에서 부실하게 찍은 탓인가. 어쨌거나 캐롤 아저씨 사진은 양호하니 다행.

금문공원에 있는 드영 미술관에서는 이브셍로랑 전시 말고도 동양계미국인 현대전, 마야 린 전시가 진행 중 이었다. 사진을 찍을 수 없는 홀의 나무 풍경은 인상적이다. 플리커에 그 설치 과정이 올라와 있다. 새로 연 과학원 밖에도 그녀의 독특한 조각이 걸려있다.

비도 오고 좀 쌀쌀하기도 하여 감기 든 사람들도 적지 않다. 계절이 가기 전 허락된 온기에 쿠스토 노래가 떠올랐다. 2001년 Slim’s에서 본 Cousteau의 첫 인기곡.

Continue reading

로렌 잴러즈닉, the affluencer – nytimes

이름이 오해를 사기도 하지만 현실물 혹은 리얼리티 쇼는 기록이 아니다. 시초를 따지자면 40년대 미국의 몰래카메라로 거슬러 가지만 현실물이 유행한 것은 21세기부터다. 듣기만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도 인기라는데. “유행을 아는 시청자 hip to TV”를 위한 프로그램을 만드는 잴러즈닉에 대한 수전 도미너스의 기사가 흥미롭다. 광고와 사치를 문화로 승화시키는 그녀를 가리키는 ‘affluencer’는 마케팅 신조어.

The Affluencer – Bravo’s Lauren Zalaznick – Profile – NYTimes.com

4년 전 케이블 채널 브라보로 온 로렌 잴러즈닉. 회색 머리칼, 40대 중역의 영향력을 분석한다. 직설적이고 솔직한 기호학 전공자. 현실이라면 괴롭지만 보기에 재미있는 것이 리얼리티TV의 공식. 그녀는 이 대중오락 형식을 광고주가 바라마지 않는 젊고 부유한 소수를 위한 ‘명품’ 지향 프로그램으로 바꾸어놓았다.

무인도에서 대도시 번화가로, 벌레와 장애물 대신 디자인, 패션, 요리에서 취향과 신분을 과시하는 리얼리티 쇼. 화사한 사람들이 벌이는 드잡이질과 사정없는 처단. 저질 공식이지만 내용물은 고급은 아니더라도 유행을 선도한다. 취향과 관음증의 결합이다.

VH1의 “팝업 비디오 Pop-Up Video“, 브라보의 “퀴어 아이 Queer Eye for the Straight Guy“, “Top Chef“, “프로젝트 런웨이 Project Runway“. 광고주 가운데에는 상류취향과 소비를 다루는 쇼를 선호하는 회사가 있는 법이다. 18세에서 49세 사이의 여성 시청자들 사이에서 브라보의 성장율은 상위 20에 든다. 그 가운데 1/4은 연 10만불 이상을 번다. Continue reading

할로윈 믹스 (or not) halloween mix

할로윈하면 왠지 헬로윈의 ‘돼먹지 않은 이야기 a tale that wasn’t right‘가 떠오른다. 메탈음악을 좋아하지는 않았지만 한때 유명하지 않았던가.

만성절은 기독교식 백귀야행이랄까, 한국 기독교의 알러지를 전해 듣게 된다. “미국 교회에서는~”이라는 위키백과의 설명도 이제 보니 좀 묘하다.

샌프란시스코의 할로윈 맞이는 꽤 유명하다. 몇 해 전 사고 이후 시에서 공개행진을 불허했다. 예전보다 못하지만 그래도 축제라, 경기가 나쁘면 오히려 현실을 잊거나 극복하는 밝음을 찾기도 하지 않나. 조커와 페일린 분장이 유행할 것 같은데.

the Postmarks – Everyday is Halloween (Ministry Cover)

할로윈 노래를 모아볼까 하는 생각을 했는데, 마땅한게 별로 없다. 이런 것도 아니고. 라이언 애덤스 Ryan Adams의 노래 할로윈헤드 Halloweenhead? 막스 라비 Max Raabe같으면 어울릴지도. 아니면 필리핀 제소자 1500 명이 열연하는 ‘스릴러 Thriller’?

그래도 에이펙스 트윈, 내가 니 애비다 Aphex Twin: Come to Daddy 만 할까. 10년이 지나도 끄떡없는 위력.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