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이 오해를 사기도 하지만 현실물 혹은 리얼리티 쇼는 기록이 아니다. 시초를 따지자면 40년대 미국의 몰래카메라로 거슬러 가지만 현실물이 유행한 것은 21세기부터다. 듣기만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도 인기라는데. “유행을 아는 시청자 hip to TV”를 위한 프로그램을 만드는 잴러즈닉에 대한 수전 도미너스의 기사가 흥미롭다. 광고와 사치를 문화로 승화시키는 그녀를 가리키는 ‘affluencer’는 마케팅 신조어.
The Affluencer – Bravo’s Lauren Zalaznick – Profile – NYTimes.com
4년 전 케이블 채널 브라보로 온 로렌 잴러즈닉. 회색 머리칼, 40대 중역의 영향력을 분석한다. 직설적이고 솔직한 기호학 전공자. 현실이라면 괴롭지만 보기에 재미있는 것이 리얼리티TV의 공식. 그녀는 이 대중오락 형식을 광고주가 바라마지 않는 젊고 부유한 소수를 위한 ‘명품’ 지향 프로그램으로 바꾸어놓았다.
무인도에서 대도시 번화가로, 벌레와 장애물 대신 디자인, 패션, 요리에서 취향과 신분을 과시하는 리얼리티 쇼. 화사한 사람들이 벌이는 드잡이질과 사정없는 처단. 저질 공식이지만 내용물은 고급은 아니더라도 유행을 선도한다. 취향과 관음증의 결합이다.
VH1의 “팝업 비디오 Pop-Up Video“, 브라보의 “퀴어 아이 Queer Eye for the Straight Guy“, “Top Chef“, “프로젝트 런웨이 Project Runway“. 광고주 가운데에는 상류취향과 소비를 다루는 쇼를 선호하는 회사가 있는 법이다. 18세에서 49세 사이의 여성 시청자들 사이에서 브라보의 성장율은 상위 20에 든다. 그 가운데 1/4은 연 10만불 이상을 번다.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