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맥 메모리 섞어쓰기

리퍼로 사서 쓰던 아이맥은 메모리가 16gb인데, 앱을 여럿 열어두고 있다보니 이따금 메모리가 모자라다고 불평하곤 한다. 앱을 종료하다 메모리 가격을 알아보았다.

DDR3 SO-DIMM은 이제 한물간 물건이 되어 수요가 줄어드니 가격은 오히려 오르는듯 마는듯, 싸다고 잘못사면 괜히 손해를 보리라.

애플 제품은 메모리를 가리는 경우가 있으니 스펙을 확인하다가 예전 업그레이드할때 빼어두었던 4gb 메모리 모듈을 찾았다. 혹시..?


Continue reading

GMail Temporary Error

구글의 gmail이 뜨지 않는 문제를 경험했다. 편지봉투 애니메이션이후 로딩진도를 보여주는 붉은 선이 나가다 멈추고 움직이다가 임시오류 메시지가 떴다.

구체적인 문제나 해결안내 없는 문구는 도움이 되지 않았다. 문제가 생겼을때 구글의 답을 듣기 어렵다는 얘기, 더 정확하게는 어디에 물어야 하는지 찾을수 없다는 얘기를 직접 확인하는 기회가 되었다.

웹브라우저 이외의 클라이언트(스마트폰 메일)에서는 메일을 확인할수 있었다. 괜찮은건지 하는 의구심이 들기는 했으나 메일계정은 살아있다고 보았다.

구글이 당시 무제한의 용량을 내세웠던 지메일이지만, 무료서비스란 제공하는 측의 책임이 강제적이지 않다는 의미. 클라우드는 남의 컴퓨터를 그럴싸하게 포장하는 말이라고 했던가. 편리하고 그냥 돌아간다는 이유로 쓰는 메일을 백업하거나 옮기는 문제를 생각하기 시작했다.

그러던 며칠, 메일이 다시 작동했다.
고객 서비스 정신이 빈약한 구글에 대한 소문으로는 백엔드의 문제로 인한 오류가 해결되어 다시 작동하는 것이라는 진단. 회사의 규모나 조직의 프로세스상 그 정도는 되고 그 이상 사용자가 신고하거나 응답을 받을 창구는 없다(거나 숨겨져있다)는 얘기다.

Y: The Last Man – Brian K. Vaughan Pia Guerra

어느날 갑자기 지구상의 모든 남성이 죽는다면(Y염색체를 가진 포유류 모두) 어떻게 될까? 그리고 남은 것은 직업없는 20대 요릭 브라운과 그의 원숭이 앰퍼샌드(&). Y: 최후의 남자는 브라이언 K. 본의 이름을 알린 작품이다.

남성말살 역병의 미스터리를 풀기위해, 그리고 인류생존의 해법을 찾기위해 요릭과 앰퍼샌드는 여행을 떠난다. 남성으로 인한 문제들이 없어졌으나, 남성위주의 사회에서 갑작스런 공백은 다른 문제들을 가져준다. 가부장적 위계를 해체하겠다는 과격여성단체 아마존, 미국독립전쟁부터 존재한 비밀첩보조직 컬퍼링 요원 355, 유전공학자 만 박사 그리고 의문의 추적자들.

영문학 전공에 탈출묘기 취미, 그리고 (특히 대중문화 전반에 걸쳐) 잡다한 지식을 보유한 요릭은 생존기술은 없고 위험한 상황에 나서는 민폐 캐릭터. 왜 이 친구만 살아남은걸까. 교환학생으로 호주로 간 약혼자 베스를 찾아가겠다는 요릭은 살아남을까.

하드커버 딜럭스판은 다섯권인데, 실패한 영화계획도 있다. 유튜브에 팬영화도 있고. 다양한 인물과 다채로운 플롯, 피아 게라의 유려한 그림이 어우러진 21세기 묵시록.

Ancillary Mercy – Ann Leckie

ancillary mercy 앤 레키의 라드치 제국 3부작의 마지막, Ancillary Mercy. 전편에 이어 어퇴크 우주정거장에서 시작하는 이야기에는 안팎으로 손님이 찾아든다. 프레스거의 통역, 정거장에 숨어있던 다른 우주선의 보조품, 그리고 브렉을 잡고 싶어하는 황제 미아나이.

나는 확실하게 알 수 있었다. 손을 뻗기만 하면 되니까. 게이트 공간의 암흑도 아니지만 숨막히는 어둠을 노려보는 것 말고 아무 것도 할 일이 없는 지금 이 순간. 그러나 나는 하지 않았다.

위기를 맞아 가능한 모든 수단을 사용할 것인가, 그 선택에 따르는 책임과 의미를 고려할 것인가. 관계에 관한 SF의 내적인 성찰. Continue reading

기업형 불복종, Shut-In 경제

샌프란시스코 도심은 일방통행에 사람도 차도 많아서 운전하기 불편한데, 대형트럭이나 공사라도 있으면 골치아프다. 주차는 물론 비싸고 힘들다. 그렇다보니 우버나 리프트 같은 요즘 서비스가 유행이고, 이 도시에는 잘 들어맞는다. 스타트업이 많은 동네에서 사람들이 그런 서비스를 이용하는걸 보면 편해보이고, 자연스럽고, 효율적인 것 같다. 그러나 모든 도시에서 그런 것도 아니오, 샌프란시스코에서도 아직 잡음이 아주 끊이지는 않는다. 최근 SXSW를 치룬 텍사스 도시 오스틴 신문이 지적한 “운송망 회사”의 사업모델 기사가 흥미롭다.

Wear: Of Uber, Lyft and how ‘corporate civil disobedience’ works in Austin

1. 도시나 주에 진출한다. 그곳 법은 차량과 운전자 등록을 해야 운행할수 있다. 또는 정해진 절차가 필요하다. 무시하고 시작한다. 앱으로 차를 잡을 시장이 충분히 크거나 새로 가입하는 운전자가 많아서, 서비스를 하다보니 정치인이나 관료가 법규를 바꿀 만큼 정치적 세력(표)이 형성된다. 적어도 눈감아줄 정도.

2. 하는 김에 이 접근법에 반대하는 사람은 기술, 미래, 혁신에 반대하는 것이라는 생각을 열심히 전파한다. 진짜 웃기잖냐, 내 밭에서 나가라는 늙은이처럼. 딴 얘기지만 누가 정책적으로 저임금 기사에 우습게 생긴 낡은 택시 편을 들수가 있나. 요, 힙합에서처럼 주먹인사.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