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bopocalypse – Daniel H. Wilson

3D 이미지를 쓴 표지의 로보포칼립스 Robopocalypse. CMU에서 로보트학을 전공한 대니얼 H. 윌슨은 사진상으로 젊어보인다.

실험실에서 자각한 인공지능이 인간세상을 삼키려는 근미래는 많이 들어보았다. 옛날 소설이 아니더라도 영화도 많으니까.

거리는 텅 비었다. 깨끗하다. 많은 차들이 블럭 위아래로 정연하게 주차되어 기다리고 있다. 135가와 애덤 교차로에 신형 SUV 네 대가 꼬리를 물고 대각선을 이루어 주차되어 있다. 안쪽 두 차 사이에는 차 하나가 겨우 들어갈 만 한 공간이 있는데, 거기를 차 하나가 막고 있다.
모든 것이 좀 어긋나 보인다. 연석 가운데에 옷 한무더기가 쏟어져 있다. 신문 가판대가 넘어져 있다. 골든 리트리버 한 마리가 목줄을 끌며 거리를 달려간다. 개는 멈추고 보도의 이상하게 얼룩진 점의 냄새를 맡더니 머리를 떨어뜨린채 멀어져간다.
“사람은 어디에 있지?” 나는 물었다.

거의 모든 것이 자동화, 지능화되고 연결된 세상에서 네트웍을 장악하는 바이러스는 공포스럽다. 교통수단, 전력, 통신수단을 잃은 현대인은 무력하고 나약하다. 천연스럽게 대피를 권하는 로봇의 꼬임에 넘어가는 것도 당연하다. 기술 기반이 무너졌을때, 인간은 살아남을수 있을까? 이것은 유효한 물음이다.
Continue reading

Zoo City – Lauren Beukes

로렌 뷰커스 Lauren Beukes의 소설 주 시티 Zoo City는 흥미롭다.

주 피플, 동물 붙은 사람들과 고장난 엘리베이터, 주술이 숨쉬는 남아프리카의 슬럼은 거칠고 위험하다. 동생을 죽인 죄로 복역하고 나무늘보를 지고 다니는 진지 디셈버 Zinzi December. 한때 기사를 쓰기도 했던 그의 능력은 분실물 발견. 특별한 종류의 탐정이랄까. 무대도 인물도 일단 신선하다.

러디츠키 부인이 잃어버렸던 반지를 갖고 잔금을 받으러 나선 아침, 진지(진지하기 어렵다)가 찾은 것은 사건 현장. 그리고 말티즈의 남자와 대머리 황새를 업은 여자. 돈없고 빚지고 과거있는 주인공이 곤란한 지경에 빠지는 시작이 누아르식이다.

“조상들이 문자를 보내는지는 몰랐는데.”
“아니, 전화를 했지. 영혼에게는 기술이 더 편해. 인간의 정신 만큼 막혀있지 않거든.” 그는 강조를 위해 머리를 두드렸다. “여전히 강과 바다를 가장 좋아하지만, 데이터는 물과 같아. 영혼이 그 속으로 다닐 수 있지. 그래서 무선 기지국 근처에서 불편한 기분이 드는거야.”

Continue reading

A Fire Upon The Deep – Vernor Vinge

사상지대 Zones of Thought 3부 하늘의 아이들 Children of the Sky가 최근 나왔는데, 버너 빈지 Vernor Vinge의 1992년 작 심연 위의 불길은 현재 절반이 번역되어 나와있다.

스트롬 성역 Straumli Realm에서 하던 위험한 실험은 오래된 존재를 깨운다. 판도라의 상자를 연 셈인데, 위험과 해로움 뒤에는 희망이 존재할까?

올슨도트 가족의 탈출선은 개를 닮은 타인 Tines의 별로 표류하고, 그들을 쫓는 악과 우주의 변동에 ‘기지(旣知) 네트워크 the Known Net’가 출렁거린다. 개를 닮았지만 목이 긴 생명체 타인 Tine은 초음파로 교신하는 집단개체인데, 개체 간의 간섭을 피하려면 거리를 지켜야 한다. 그 탓에 기술은 중세수준이지만 정치적인 술수는 만만치 않다.

은하 ISP 같은 브리니미 기구 Vrinimi Organization에서 사서로 일하던 라브나는 모험에 빠져들고, 우주선의 추락으로 타인의 별에 전운이 감돈다. Continue reading

Rule 34 – Charles Stross

스코틀랜드 작가 찰스 스트로스 Charles Stross가 신작 34조 Rule 34로 찾아왔다. 정지상태 Halting State를 잇는 근미래 범죄 SF 소설. 2인칭 시점의 서술이 흥미롭다.

인터넷에서 말하는 34조란, “존재하는 모든 것에는 포르노가 있다 if it exists there IS porn of it“는 것인데, 벼라별 팬픽, 동인지와 외전 등이 다 여기에 포함되겠다.

대부분의 대중은 여전히 셜록 홈즈나 리버스 경위 같이 단서를 포착하는 시각을 가진 천재를 믿는다. 불가해한 수사의 통찰력이라는 환상을 지키는 것은 정치적인 이유로 높은 곳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현실은 마법의 장막 너머에서 소화전에서 튀어나오는 자료의 홍수에서 패턴을 찾아 지시된 심문, 공공 웹캠 스트림, 휴대전화 교통 메타데이터, 검시보고서 등 수 테라바이트의 정보를 정신없이 정리하는 제복을 입은 사무직원들의 존재다.

환경을 무시할수 없는 시대, 예산도 빠듯한 스코틀랜드. 리즈 카바나 Liz Kavanaugh 경위는 신범죄수사 Innovative Crime Investigation Unit 부서를 맡고있다. 한때 잘나가다 삐끗한 커리어의 상처가 아직 쓰린 주인공. 인터넷의 X파일? 사실 외설에만 국한되기 보다는 다양한 인터넷 밈 meme을 추적하고 타 부서의 요청과 의뢰를 처리하기에도 바쁜 조직. 현실보다 추잡하고 메스꺼운 상상력의 쓰레기통을 뒤지는 험한 일이다.
Continue reading

Grail – Elizabeth Bear

야곱의 사다리 마지막 3권의 제목은 성배, 그레일 Grail. 신임 선장 퍼시발과 엔젤 노바가 이끄는 우주선이 쉴 수 있을 별을 찾았는데, 이미 정착한 이들이 있다. 거기다 외계인이 아니라 지구에서 온 인간이다.

“도둑정부 the Kleptocratic government와 그들이 당신 조상들에게 한 일이 마지막 추가 되었고, 여론이 정신정화 rightminding에 찬성했습니다. 처음에는 치유불가능한 이데올로그와 범죄자들을 치료하는데 사용되었죠. 그리고 도둑정치가와 사상병자들. 자본주의와, 용서하세요 – 진화론 같은 파괴적인 신념체계의 사제들이 그 다음이었습니다. 당신들이 떠난 다음에 일어난 일이죠. 결국 정신정화를 거친 인구가 과반수가 되었고 의무적인 절차가 되었습니다. 지구의 마지막 대규모 전쟁이었죠. 이후로는 협상과 타협으로 헤쳐나갈 수 있었습니다.”

콘 Conn 패밀리가 나노기술로 만든 심비온트 symbiont를 통해 개체의 생존을 꾀했다면, 배드 랜딩(정착민들은 그레일이라 부르지 않는다)의 사람들은 사회유지를 위해 정신을 교정했다. 서로 다른 이들이 타협할 것인가, 싸울 것인가.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