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향녹음 저작권 기간 연장에 관한 소고 – Open Rights Group

한미FTA 덕분에 미키마우스법으로 일컬어지는 저작권 기한이 연장될 가능성이 높다. 정부에서는 그 효과를 선전하지만 회의적인 시각도 많다. 유럽에서도 비슷한 일이 있나보다. 음향녹음에서의 저작권 기간을 두 배로 늘리자는 청원이 있었다. 권리개방집단 Open Rights Group에서 그 실상과 영향을 알리는 유튜브 비디오를 만들었다. 닥터로우보잉보잉에서 알게되어 정리해 본다. 음반시장 및 음악계가 아마도 고민하고 있을 문제와 겹치는 부분이 있으리라.

우선 저작권이란 창작물을 무단복제에서 보호하여 창작의욕을 살리기 위해 한시적은 독점을 허용하는 것이다. 저작권이 소멸된 작품은 공공의 재산이 되어 사회로 환원된다. 셰익스피어, 괴테, 모차르트, 프루스트, 존슨, 다윈, 톨스토이, 키츠, 워드워즈 등등 그 경제적, 문화적 효과는 거대하다.

영국정부의 가워스 보고서 Gowers review 2006와 암스테르담대학 정보법률 센터의 유럽위원회 위탁 연구에 따르면 예상되는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 소비자 가격 상승
  • 경쟁 위축
  • 주된 혜택은 오래된 작품의 저작권을 모은 자들

결론적으로 저작권 연장에 반대를 권했다. 그러나 유럽 위원회 European Commission는 이를 묵살하고 기간 연장이 도움이 된다고 주장했다. 음반업계가 지원한 연구 하나를 논거로 제시한다. BPI가 지원하고 PWC가 수행한 연구는 독립적인 가워스 보고서에서 비난한 바 있다.

연주자, 음반회사, 소비자 – 이득을 보는 것은 과연 누구?
Continue reading

people are people, no?

dsc_0555 이럴 수는 없다. 지금이 戰時인가? ‘전쟁’이라 하던 자들이 의미한 것은 설마 아니겠지. 컨테이너로 장벽을 쌓고 죄많은 박정희가 지은 지하실에서 위기를 논했던 것이 이것은 아니겠지. 국회를 보좌하는 사무처가 국회 위에 서려고 하더니 경찰시민을 어떻게 보는가. 이런 것이 법치인가. 악!법이라고?

새로 돈 찍는다고 호들갑이더니, 광복이 아니라 건국절을 이야기한 까닭은 아니리라.

용산 어디가 어떻기에, 아무리 돈이 좋다고 하더라도 사람보다 땅과 집을 더 높이 칠 수 있나. 엄동설한에 어디로 가라고.

장관은 무슨 일을 하는 사람인지 모르겠다.

고인들의 명복을 빈다.

scoundrel days, 악당의 시대 – a-ha

80년대 하니까 아하 a-ha 생각이 났다. 조용필의 광고를 낳기도 했던 데뷰곡 Take on me 의 비디오로 유명세를 누렸던 노르웨이 밴드. 두번째 앨범 Scoundrel Days는 첫 앨범 만큼 성공하지 못했다. Take on me 같은 경우는 유튜브에서 뮤직비디오를 찾을 수 없다. 음반의 판권을 가진 워너가 애플과의 계약조건에 반대하고 아이튠즈에서 발을 빼겠다고 을렀던 것을 보면 당연한 일이다.

2006년의 비디오, 90년대의 머리띠는 보이지 않는다.

10년도 넘은 노래 그 가사가 왠지 새삼스럽다. 옮겨본다.
Continue reading

dr strangecraft – charles stross

스트로스가 조금 오랜만에 글을 올렸다.

Dr Strangecraft, I presume?

존재론적 호러로 시작하는 글을 대충대충 옮겨보자.

H.P.러브크래프트가 호러를 창시한 것은 아니지만 오픈소스 호러 신화의 시조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머리에 쥐가 날 만큼 고대의 방대한 우주(비샵 어셔가 아니라 에드윈 허블의 천체학 덕에)에 정신없을 지성체들이 가득한데 우리는 그들 발치의 먼지에 불과하다. 이 종말론 속에서 러브크래프트는 서늘한 묵시록의 결말을 만들었다. 어느날 별들이 늘어서고 죽지 않고 잠들었던 존재가 깨어나 지상으로 돌아오리가, 형용할 수 없는 악몽이 산 자들에게 닥치리라. 뭐 그런거다.

예를 들자면.

생각하면 러브크래프트식 신화 속 고대의 귀환은 서구 신화의 진부한 예와 공통된 점이 있다. 내 세대의 성장에 그림자를 드리웠던 핵전쟁의 공포와 아마게돈, 묵시록, 과학소설로 비틀면 유일점. (까닭없이 똘똘이들의 휴거일까)

물론 차이점이 있다. 유일점에 관한 한, 별들이 온 다음은 생각할 수 없다. 인류는 주위의 우주를 체록할 지성계 먹이사슬의 우생종이 아니다. 사실은 그들 발 밑의 먼지니까. 기독교 종말론은 꽤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그들의 천국, 나머지는 불신지옥) 열핵 아마게돈은 소설에서 정당한 징벌로 기우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는 무시무시하게 묘사된다. (영화 스레드나 소설 리보위츠를 위한 찬송)

그러나 좋은 농담인가?

Continue reading

2008년을 보내며

12월의 서울은 작년과 달랐다. 거리가 예전 만큼 붐비지 않았다. 여기저기 공사판은 여전했지만. 버스타기에 익숙해지는데는 시간이 걸린다.


2008년, 나의 (비주류)문학적 영웅 두 사람을 만나 보았다.

원하는 바, 그 어떤 방향으로 더 나아갔다고 하지는 못하더라도 갈림길에 미적이지만 은 않았다. 가지 못할 길을 단념했다. 이건 나이를 더 먹었다는 이야기를 늘어놓은 셈인가.

에이미 맨을 알았으나 발견한 것은 올 해. 최근 앨범 @#%&*! SMILERS에서 ‘오늘 서른 하나 Thirty One Today’를 KCRW에서 들었다. 유튜브에 올라온 비디오는 노래말과는 분위기가 다르다.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