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광고, 온라인 / 인터넷 – nytimes

광고는 흥미롭다.

수요와 공급, 가격과 매출 때문이 아니다. 사회와 심리와 주고받는 영향이 흥미롭다. 최근 몇 주 간 전세계가 요동친 경제 위기를 신문의 온라인 광고 수익과 연관지은 기사를 옮겨본다. 스테파니 클리포드의 글. 포탈에 도매로 뉴스를 팔다 어렵게, 뉴스 납품업체가 된 경우와는 꽤 다르다.

Advertising – Newspapers’ Web Revenue Is Stalling – NYTimes.com

미국 신문협회가 2003년 온라인 수익을 측정한 이래 확장만 하던 광고시장이 올 2분기 처음으로 줄었다. 작년과 비교하면 2.4% 떨어진 $777,000,000.

전반적인 온라인 광고는 여전히 건재하다. 경영진들의 의견에 따르면 새로운 기능은 더 많은 독자를 끌어들인다. 개별 독자 수는 올 8월 기준으로 작년 동기간에 비해 17% 증가한 6930만. 경기침체와 소액광고의 감소가 원인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화면는 줄었고 광고단가를 낮추어야 만 했다. 워싱턴포스트나 뉴욕타임즈 같은 신문은 홈페이지의 광고공간에 더 비싼 요금을 받는다. 조회수 1000 당 $15에서 $50. 신문들은 광고망이라는 중간단계를 통해 그 아래의 공간을 채운다. 1000 당 $1 정도의 가격이 일반적인데 광고망 업체는 2배 이상의 가격으로 계약을 맺는다. 광고망 의존도는 꼭 좋은 일 만은 아니다. 다 같은 물건으로 만드는 셈이다. 광고망을 피하는 전략을 펴는 곳도 있으나, 7개 매체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독자적인 광고로 메꾸지 못한 공간이 2006년에 비해 작년 늘었다.

USA투데이를 소유한 가네트의 미국 온라인 매출은 2분기에 3% 늘었다. “광고가 매진이라면 광고망을 쓸 필요가 없겠지요. 그러나 현실에서 광고망을 쓸 만 합니다.” 제프 웨버의 말이다. 다른 업체들의 결과는 좋지 않다.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서 2분기에 A.H.벨로는 12%, E.W.스크립스는 8%, 트리뷴社는 9% 줄었다.

뉴욕타임즈 미디어 그룹의 광고책임자 드니즈 워렌은 우려가 있지만 광고망을 쓰는 이유를 설명한다. 금융위기로 조회수가 껑충 뛰었던 지난 9월처럼 조회수가 치솟을 경우 효과적이다. Continue reading

디지털로 가까이, 인터넷의 사회학 – nytimes

말풍선이 빼곡, 기사 꼭대기에 있는 피터 조의 삽화가 인상적이다. 웹 2.0의 총아 페이스북뉴스피드, 주변인식(분위기 파악이랄까, ambient awareness), 트위터. 인터넷과 사람 사이의 거리, 외로움. 클라이브 톰슨의 기사가 흥미롭다. 이번에도 원문은 조금 길다.

I’m So Totally, Digitally Close to You – Clive Thompson
– NYTimes.com

Brave New World of Digital Intimacy “피곤한 월요일”, “커피 마시는 중”, “오늘도 야근”.. 짤막하게 기분이나 상태를 고치는 일은 사소하고 귀찮아 보인다. 일본의 사회학자 이토氏의 연구에 의하면, 전화에서 시작한 현상이다. 다른 도시에 떨어져 있는 연인들이 “TV 보는 중”, “술 한 잔 한다” 등 문자메시지를 밤새 주고 받았다. 몇 시간 씩 하는 통화의 불편이나 부담이 까닭이었는데, 짧은 문자가 통화보다 더 친밀하게 느껴졌다는 것이다. 하나하나는 사소하고 중요하지 않지만, 부담없는 정보가 쌓이면 의미를 찾게 된다. 무슨 말인지 모를 타인의 트위터, 페이스북을 하루종일 보면 단편소설이 되고 한 달이 지나면 장편소설이 된다고나. 그렇게 저자는 직접 트위터에 빠져보고, 사람들을 인터뷰했다.

사람은 누구나 개인적인 친교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는 인류학자 로빈 던바의 연구는 흥미롭다. 원숭이는 이를 잡고 털을 골라주고, 사람은 대화를 한다. 잡담, 험담 혹은 이잡기. 누군가를 “안다”고 느끼기 까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관계를 감당하는데는 한계가 있을 것이다. 원숭이 집단은 대략 55개체까지 확장되는데, 인간의 두뇌용량을 고려한다면 사회적인 관계는 더 크지 않을까. 해서 평균 150이라는 숫자가 나왔단다. 심리학 연구에서 확인한 150이 이른바 던바의 숫자.
Continue reading

coworking, without the hyphen ‘-‘

뉴욕타임즈에 재미있는 기사가 올라왔다.

They’re Working on Their Own, Just Side by Side – New York Times

졸업과 사회생활의 시작을 앞둔 고민은 브래드 뉴버그 Brad Neuberg 뿐이랴. 취직을 하면 체계가 잡히고 안정을 찾는다. 프리랜서가 되면 자유와 독립을 얻는다. 둘 다 놓치기 싫다면?

세를 얻고 룸메이트를 구해서 부담을 나누는 것과 비슷하다. 사무실을 빌리고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을 찾았단다. 함께 일하는 co-working 것이 아니라 같이 자기 일을 하는 coworking 거라나. 직장 동료는 아니지만 사무실 친구? 그게 2005년이었다. 이름하여 모자공장 Hat Factory.

캘리포니아 북부를 전문으로 하는 관광 사이트 71miles.com에서는 매달 $175에 책상 하나를 빌린다. 무선 인터넷과 노트북 컴퓨터, 휴대전화면 충분하니까. 60년대 히피문화와 90년대 닷컴의 결합이랄까, 샌프란시스코여서 가능한 것은 아닐까.

비슷하지만 조금 다른 시도들이 소개된다. 방문객을 받아도 보고, 무례와 도를 넘은 손님을 거절하기도 한다. 돈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열의로 진행하는 사람도 있다.

오피스텔이나 사무실을 빌리고, 적절한 규칙을 협의하고 공간과 설비를 공유한다. 잘되면 적절한 자극과 가능성, 비용절감이다. 끈끈한 동료애가 아닌, 상호존중과 자신의 일에 대한 열정이면 될까. 필요과 가치를 어느 정도 공유해야 가능하겠다.

섹스, 마약 그리고 블로그 – 아티스트 2.0 ?

nytsex, drugs and updating your blog라는 흥미로운 기사가 실렸다. 클라이브 톰슨 clive thompson의 글을 줄여 옮겨본다.

조나단 콜튼 jonathan coulton의 예를 보자. 프로그래머를 그만두고 매주 한 곡씩 써서 블로그에 올리는 것으로 전업 가수의 길을 시작했다. 톰 크루즈도 좋고, 경험으로 알고 있는 끝없는 프로그래밍도 모두 노래감이다. 1년 반 쯤 지나 그의 프로젝트가 알려지기 시작했다. 매일 방문자는 평균 3000 명 이상, 인기곡은 50만 번이 넘게 다운되었다. 일상사를 털어놓는 블로그와 음악에 팬들의 관심도 대단해서 매주 새 노래에 어울리는 그림을 그려주기도 하고, 공연과 기자를 다루는 요령도 조언해준다. 가수와 팬이지만 일방적인 관계가 아니란 얘기다.

9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팬들을 만나는 기회는 드물었다. 공연이 끝나고도 기다린 팬들 정도. 그러다 인터넷이 밀려들었다. mtv나 잡지 만이 아니라 친구의 입을 통해, 사이트 주소를 주고 받고 mp3, 이메일, 블로그와 마이스페이스 myspace. 전화기로 찍어올린 유튜브 youtube 동영상. 작년 영국에서 떠오른 아크틱 멍키즈 arctic monkeys가 인터넷으로 성공한 좋은 예다.

1류 스타들은 물론 마케팅과 매체에 의존하지만 소위 ‘인디’ 음악인들의 새로운 세대가 그런 경우랄까. 어떤 경우는 인터넷이 없었더라면 가능했을지도 의문이다. 콜튼의 소득 41%는 노래(디지털), 3/4 정도는 자신의 사이트에서 팔린다. 29%는 cd 판매, 18%는 공연 표를 파는 수익이다. 나머지 11%는 t셔츠, 물론 온라인 포함해서.

그와 같은 아티스트들은 유연한 가격을 시도하기도 한다. 그의 노래 대부분은 공짜로 받을 수 있다. 팬들이 노래를 사는 이유는 그에게 돈을 보내기 위해서다. 캐나다 가수 제인 시버리 jane siberry는 보다 적극적으로 ‘자유가격 pay what you can’을 고안했다. 노래마다 사람들이 지불하는 평균가격을 함께 표시하면서. 일종의 공정가격이 형성되는 셈인데, 그 결과는 흥미롭게도 한 곡에 $1.30, 아이튠즈 itunes보다 비싸다.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