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광고, 온라인 / 인터넷 – nytimes

광고는 흥미롭다.

수요와 공급, 가격과 매출 때문이 아니다. 사회와 심리와 주고받는 영향이 흥미롭다. 최근 몇 주 간 전세계가 요동친 경제 위기를 신문의 온라인 광고 수익과 연관지은 기사를 옮겨본다. 스테파니 클리포드의 글. 포탈에 도매로 뉴스를 팔다 어렵게, 뉴스 납품업체가 된 경우와는 꽤 다르다.

Advertising – Newspapers’ Web Revenue Is Stalling – NYTimes.com

미국 신문협회가 2003년 온라인 수익을 측정한 이래 확장만 하던 광고시장이 올 2분기 처음으로 줄었다. 작년과 비교하면 2.4% 떨어진 $777,000,000.

전반적인 온라인 광고는 여전히 건재하다. 경영진들의 의견에 따르면 새로운 기능은 더 많은 독자를 끌어들인다. 개별 독자 수는 올 8월 기준으로 작년 동기간에 비해 17% 증가한 6930만. 경기침체와 소액광고의 감소가 원인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화면는 줄었고 광고단가를 낮추어야 만 했다. 워싱턴포스트나 뉴욕타임즈 같은 신문은 홈페이지의 광고공간에 더 비싼 요금을 받는다. 조회수 1000 당 $15에서 $50. 신문들은 광고망이라는 중간단계를 통해 그 아래의 공간을 채운다. 1000 당 $1 정도의 가격이 일반적인데 광고망 업체는 2배 이상의 가격으로 계약을 맺는다. 광고망 의존도는 꼭 좋은 일 만은 아니다. 다 같은 물건으로 만드는 셈이다. 광고망을 피하는 전략을 펴는 곳도 있으나, 7개 매체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독자적인 광고로 메꾸지 못한 공간이 2006년에 비해 작년 늘었다.

USA투데이를 소유한 가네트의 미국 온라인 매출은 2분기에 3% 늘었다. “광고가 매진이라면 광고망을 쓸 필요가 없겠지요. 그러나 현실에서 광고망을 쓸 만 합니다.” 제프 웨버의 말이다. 다른 업체들의 결과는 좋지 않다.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서 2분기에 A.H.벨로는 12%, E.W.스크립스는 8%, 트리뷴社는 9% 줄었다.

뉴욕타임즈 미디어 그룹의 광고책임자 드니즈 워렌은 우려가 있지만 광고망을 쓰는 이유를 설명한다. 금융위기로 조회수가 껑충 뛰었던 지난 9월처럼 조회수가 치솟을 경우 효과적이다. Continue reading

제목 /title 에 관한 소고

다른 사이트들 보다, 신문의 사이트들에 불만이 많다. 답답하다고 할까? 그 중 아주 간단하고 단순한 것을 하나 짚어 보자.

제목 – title .

html 을 손으로 쳐넣는 사람이 드물어지지만, <title> 이란건 페이지의 얼굴.. 은 아니라도 명찰 쯤 되지 않을까. 커다란 모니터에 브라우져를 쫘악 펼쳐놓고 플래쉬 애니메이션 돌아가는 것 보면 눈에 띄지도 않겠지만, 무시하지 마시라.

책갈피/북마크를 해도 그렇고, 딜리셔스에다 책갈피를 넣어도 그 설명은 우선 제목이 들어간다. 물론 설명을 고쳐넣고 바꿔넣을 수 있다지만, 그렇게 하기를 요구한다는건 매체로서의 자세가 아니잖을까.

해서, 간략하지만 바람직한 제목의 요소를 생각해 보자.

1. 내용을 반영해야 한다.
클릭해서 보이는 기사와 무관하게 “@#&$ 신문 – 어쩌고” 를 띄워놓아서야 되겠나. 선정적이고 짜릿한 표제는 아니더라도, 어떤 기사인지는 반영해야 하지 않을까. 적절한 제목은 인구에 회자되는데 도움이 되는 공짜 차표다.

2. html 태그는 쓰지 마시라.
아쉬울지 모르지만, 제목에서는 태그가 무용지물이다. <B> 나 <I> 그대로 그냥 나올지니, 어설프게 보이기 십상이다.

3. 경로/분류를 줄줄이 엮지 말자.
웹 마스터나 설계자의 입장에서야 계층을 일목요연하게 나타내는 경로가 있으면 좋을 것 같다. 물론, 페이지 꼭대기 한켠에 아담하게 자리하면 위로 넘어가고 찾기 좋기도 하다. 그러나, 자칫하면 길~다랗게 차지하게 된다. 왠만하면 두세 단계를 넘기지 않으면 좋을듯. 페이지의 경로를 굳이 다 반영할 필요는 없지 않나.

4. 순서의 문제.
두가지 스타일, 기사먼저와 조직먼저로 나누어 보자.

a) 냉차의 계절 돌아오다 – 유비통신
b) 사이비스포츠 : 계란말이의 비결

장단점이 있겠지만, 그냥 차례가 지켜지는 쪽과 내용이 우선하는 쪽으로 나뉘겠다. 어차피 책갈피/즐겨찾기에 폴더를 두게 마련이고, 다양한 태그를 붙이기도 하는 상황에서 첫눈에 인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a)기사먼저 에 손을 들어주고 싶다.

다양한 컴퓨터브라우져를 고려하고 미적 간결함과 창의 크기, 접근용이성, 다국어/해외독자에 대한 고려 등등 아쉽게 포기하는 주제들이 많고 많다. 인쇄매체가 짤막한 단신에 유리한 포탈을 쫓아 제 무덤을 파는 모습은 답답하다 못해 허탈하기도 하다. 그렇게 마음은 인터넷, 무형의 정보를 쫓지만 손끝은 여전히 굳어있어 목차에 따라 순서를 나누어 철한 서류뭉치를 따라간다. 거기에 예쁘고 알록달록, 그리고 무겁고 뻑뻑한 그림에 다양한 잡동사니를 광고주나 디자이너가 청하는대로 묶고 실으니.. 개편할 때 마다 정나미가 떨어지는게 이상하지도 않다.

모두들 목을 매는 ‘비즈니스 모델’ 말고, 적어도 있는 기사 쌓인 기사라도 잘 간수하시라. 한두번 하루이틀로 뭍힐 기사가 더 많지만, 기껏 특집 기사로 링크 생기고는 잊혀지기 아까운 기사들도 있으니 안타깝지 않은가. 거기에 한 발 더 나아가 검색과 관련 기사, 유사 기사와의 연계까지 모색하면 좋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