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ll and earth – elizabeth bear

엘리자베스 베어의 프로메테우스 시대 연작. 스트랫포드 맨 하권.

16-17세기 2인칭 대명사 thee가 슬슬 사라져가고 복수 대명사 you가 격식을 차린 경우에 단수로도 쓰이지만 섞여 쓰이던 시기. 몇 해에 걸친 연구와 저작에 감사를 표하는 글도 길다. 몇몇 등장인물의 실재 모델이 무대에 섰던 장미극장이 그 첫머리에 나온다.

요정계와 지옥의 모험에 이어 지상으로, 둘째 권이 4,5막으로 이어진다. 셰익스피어는 병을 얻어 죽다 살아나고, 정치적 혼란 속에 엘리자베스 여왕이 운명한다. 지상의 영국이 흔들리고 요정계도 표류한다. 영악한 야심가 베인즈의 음모에 빠져든 말로우와 셰익스피어. 그러나 장기를 두는 사람은 베인즈 만이 아니다. 수수께끼들이 풀리는 가운데 말로우의 무대가 펼쳐진다.

르네상스 영어와 현대어의 사이 어디 쯤, 글은 예스럽지만 어렵지 않다. 작가가 맺음말에 언급한 Early Modern English와 Modern English가 그 설명이거니. 시와 극, 왕권과 첩보, 요술과 주문 속에 역사와 환상으로 그려지는 세계. 두 주인공 말로우와 셰익스피어는 설득력을 얻는다. 실재한 작가들과는 비교하지 말자. 베어 말따나 그들 역시 수없는 장삼모사에게 고난과 역경을 안겨주지 않았던가.
Continue reading

순정만화 – 류장하

다 알 만큼 유명해진 강풀의 만화, 예쁘게 매끄럽게 만든 영화.

포스터가 영화와 좀 따로 노는데, 꼭 드문 일은 아니니까.

낡은 아파트와 골목길 풍경을 잡아냈다, 조금 과하다 싶게 예쁘게. 분식집은 동화에 나올 법 한 세트 같이. 음악이 그럭저럭, 적어도 듣기 괴로운 노래는 없어 좋았다. 자잘한 숨은그림찾기가 종종 눈에 띄고, 유지태는 여전한데 채정안은 꽤 달라보였다.

동화같은 이야기로 다루는 꼭 동화같지 만은 않은 세상. 난 그게 외면인지 극복인지 잘 모르겠다.

ink and steel – elizabeth bear

프로도, 빌보 배긴스와 같은 생일을 가진 엘리자베스 베어프로메테우스 시대 연작. 스트랫포드 맨 상권. 엘리자베스 여왕의 영국과 요정계의 여왕 메이브. 이중의 무대에서 펼쳐지는 이야기다.

It lies not in our power to love, or hate,
For will in us is over-rul’d by fate.

– Christophoper Marlowe, Hero and Leander

시인/극작가/배우 키트 말로는 한쪽 눈을 잃고, 다른 세상에서 눈을 뜬다. 특별한 친구 윌 셰익스피어가 대신해야할 그의 역할은 16세기 영국에서 만큼 요정계에서도 중요하다. 귀족 간의 알력과 천주교, 개신교, 첩보와 극단, 프로메테우스 클럽. 막과 장을 시작하는 것은 말로우, 셰익스피어 등 시와 희극의 구절들인데 적절하기도 하고 재미있다.

1막 눈에 칼을 맞은 키트, 요정계에서 깨어난다.
2막 배신자를 찾아, 윌과 키트가 주고 받는 편지.
3막 윌과 키트 요정계로, 그리고 지옥으로.

온 세상이 무대가 아닌가. Totus mundus agit histrionem.
Continue reading

little dragon @café du nord – 11/23/2008

샌디에고 밴드 마누크 Manouk는 수염쟁이 스캇 머카도 Scott Mercado 중심의 5인조. 포크 느낌이 나는 락음악, 캘리포니아 인디밴드 티가 난다.


아노미 벨 Anomie Belle는 시애틀에서 왔다. 포틀랜드 출신 토비 캠벨 Toby Campbell의 프로젝트에 애너린 윌리엄스 Anna-Lynne Williams아일린 패런 Aileen Paron이 함께 한다. 하얀 맥북과 건반, 바이얼린. 다양한 시도로 색깔을 찾는 중인듯 하다. 제로 7 생각이 꽤 났다.


스웨덴에서 온 리틀 드래곤 Little Dragon. 노래하는 유키미 나가노 Yukimi Nagano, 드럼치는 에릭 보댕 Erik Bodin, 베이스의 프레데릭 캘그렌 Fredrick Källgren, 건반에 호칸 비렌스트랜드 Håkan Wirenstrand 다 고교 친구라고 한다. KCRW 덕에 발견한 밴드인데, 어디서 그렇게 팬들이 많았는지 매진, 열장 남은 현매표를 위해 줄을 선 젊은이들. 시애틀에서 공연을 보러 온 아저씨가 일착.


Continue reading

여성은 컴퓨터를 싫어한다? – nytimes

이공계 고등교육과 성적 편향에 대한 이야기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그럼 뭐가 새로울까, 랜들 스트로스 Randall Stross의 흥미로운 기사를 옮겨본다. 법조계 및 정치인과 검열, 교육에 관한 이야기는 아니다. :p

What has driven women out of Computer Science? – nytimes

어릴때 참가했던 컴퓨터 캠프의 남녀 비율은 왜 6:1일까, M.I.T.의 대학원생 엘렌 스퍼터스는 궁금해했다. 왜 M.I.T. 전산학부에는 여학생이 20% 뿐일까? 그녀는 여성이 그 분야를 멀리하게 된 문화적인 편견을 분류하여 124쪽 논문 “왜 여성 전산학자는 드문가?”을 발표했다. 1991년.

그 후로 전산(computer science) 분야는 괄목할 변화를 겪었다. 오늘날 전산을 선택하는 여성은 더 줄었다. 그 원인은 논의의 대상이다.

1991년 당시 여성 전공자가 적었던(under-representation) 까닭을 설명하는 일은 다른 기술 분야에도 적용된다는 것이 특히 곤혹스러운 일이다. 거의 모든 기술 분야에서 여성은 대체로 남성과 동등한 위치에 올라섰다. 과학, 기술 분야 전반을 고려해 보자. NSF 조사에 따르면 학사학위를 받는 여성의 비율은 1984-85 당시 39%에서 2004-5 51%로 올랐다.

그러나 전산 분야에서 여성의 비율은 낮아지고 있다. 2001-2년 전산학부의 여성비율은 28%였다. 2004-5년에 오면 22%. 컴퓨터연구협회의 자료를 보면 M.I.T.같은 연구중심 대학에는 여성이 더 적다. 미국과 캐나다에서 전산전공 학부생이 박사과정에 들어가는 비율은 2001-2년 19%에서 2006-7년 12%로 내려앉았다. 많은 전산학과에서 학부 신입생 가운데 여성은 10%가 채 안된다.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