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광고, 온라인 / 인터넷 – nytimes

광고는 흥미롭다.

수요와 공급, 가격과 매출 때문이 아니다. 사회와 심리와 주고받는 영향이 흥미롭다. 최근 몇 주 간 전세계가 요동친 경제 위기를 신문의 온라인 광고 수익과 연관지은 기사를 옮겨본다. 스테파니 클리포드의 글. 포탈에 도매로 뉴스를 팔다 어렵게, 뉴스 납품업체가 된 경우와는 꽤 다르다.

Advertising – Newspapers’ Web Revenue Is Stalling – NYTimes.com

미국 신문협회가 2003년 온라인 수익을 측정한 이래 확장만 하던 광고시장이 올 2분기 처음으로 줄었다. 작년과 비교하면 2.4% 떨어진 $777,000,000.

전반적인 온라인 광고는 여전히 건재하다. 경영진들의 의견에 따르면 새로운 기능은 더 많은 독자를 끌어들인다. 개별 독자 수는 올 8월 기준으로 작년 동기간에 비해 17% 증가한 6930만. 경기침체와 소액광고의 감소가 원인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화면는 줄었고 광고단가를 낮추어야 만 했다. 워싱턴포스트나 뉴욕타임즈 같은 신문은 홈페이지의 광고공간에 더 비싼 요금을 받는다. 조회수 1000 당 $15에서 $50. 신문들은 광고망이라는 중간단계를 통해 그 아래의 공간을 채운다. 1000 당 $1 정도의 가격이 일반적인데 광고망 업체는 2배 이상의 가격으로 계약을 맺는다. 광고망 의존도는 꼭 좋은 일 만은 아니다. 다 같은 물건으로 만드는 셈이다. 광고망을 피하는 전략을 펴는 곳도 있으나, 7개 매체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독자적인 광고로 메꾸지 못한 공간이 2006년에 비해 작년 늘었다.

USA투데이를 소유한 가네트의 미국 온라인 매출은 2분기에 3% 늘었다. “광고가 매진이라면 광고망을 쓸 필요가 없겠지요. 그러나 현실에서 광고망을 쓸 만 합니다.” 제프 웨버의 말이다. 다른 업체들의 결과는 좋지 않다.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서 2분기에 A.H.벨로는 12%, E.W.스크립스는 8%, 트리뷴社는 9% 줄었다.

뉴욕타임즈 미디어 그룹의 광고책임자 드니즈 워렌은 우려가 있지만 광고망을 쓰는 이유를 설명한다. 금융위기로 조회수가 껑충 뛰었던 지난 9월처럼 조회수가 치솟을 경우 효과적이다. Continue reading

rachel getting married – jonathan demme

조나단 데미의 새 영화 ‘레이첼의 결혼‘. 앤 해서웨이, 로즈마리 드위트, 데브라 윙어, 빌 어윈이 나오는 결혼식 희극이다. 실제로 본 적이 없는 그런 결혼식.


약물 중독으로 10년 동안 재활시설을 들락거리던 킴은 언니 레이첼의 결혼을 맞아 돌아온다. 행복한 결혼, 흥겨운 잔치에 어색한 킴과 가족사가 펼쳐진다. 12 계단은 중독이나 강박증 치유를 위한 프로그램이란다. AA와 비슷하다.

Continue reading

삼성왕국의 게릴라들 – 프레시안 특별취재팀, 손문상

삼성왕국의 게릴라들 해방 이후 적산재산 불하, 차관과 관치경제를 통해 형성된 재벌. ‘민주화’와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정부의 통제는 약해졌으나 자본에 대한 규제는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정관계에 광범위한 로비를 이어온 재벌들의 영향력은 엄청나다. ‘삼성공화국’이라는 말처럼.

치밀하고 교묘한 無노조 경영. 경영권/지배권의 승계를 위한 편법과 기묘한 지배구조.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 유출 사고와 어마어마한 미술품 수집. 국세청사법부의 관대한 처분은 계속된다.

우리는 지는 데 익숙하다. 외로운 데도 익숙하다. 아무리 소리치고 머리 깎고 굶어도 사회는 꿈쩍도 안 한다. 우리는 열매를 보고 하는 게 아니다. 봄이 됐으니 씨 뿌리고 밭을 가는 것이다.

달걀로 바위를 때리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how to lose friends and alienate people – robert weide

토비 영의 자전기 ‘친구 잃고 왕따되기’를 바탕으로 만든 영화. 카네기의 처세술 실용서의 풍자가 되겠다.

괜찮은 집안에서 좋은 학교 다닌 영. ‘상류사회를 위한 쌈마이’를 내세운 잡지 모던 리뷰에서 투자자의 성미를 건드리고 친구와 대판 싸운다. 그레이든 카터의 잡지 배니티 페어에 취직한다. 부푼 꿈과 야심으로 내딘 걸음, 5년 동안의 모험과 소극들을 회고하는 영화와 같은 제목의 책을 내고 영국으로 돌아갔다. 로버트 와이디의 영화에서 주연, 시드니 영을 맡은 사이먼 페그와는 꽤 닮았다.

토비 영이나 잡지를 몰라도 전혀 지장없다.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를 기대하면 곤란.

잡지 샤프스의 편집장 클레이튼 하딩을 연기한 싱글능글 제프 브리지스 웃는둥 마는둥. X파일의 스컬리, 질리언 앤더슨은 편안해 보인다. 작정하고 망가지는 캐릭터의 순수와 불순, 허세와 욕망. 벤 스틸러가 들어 있지 않은 코미디. 돼지와 치와와의 결전..은 없다. 예상치 않은 노출에 주의바람.

촬영현장에서의 비디오 일기도 심심하지 않다.

interesting times

난세는 영웅을 낳는다지만 태평한 시절의 개 팔자가 더 낫다고도 한다. 흥미진진한 시대 interesting times, 별로 좋지 않다.

적어도 작년부터는 많이들 예감했던 일이다. 연초도 무난히 지났다. 거창한 경제 목표를 내세운 후보가 당선되기까지 했다. 그리고 최근 몇 주, 지난 주.. 월요일! 환율도 정신없고 뭐 남아나는게 없다. 길버트와 조지가 딱인가.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모르고 살기가 어렵지 않을까 싶다. 블로그 시스템을 개비한 스트로스, 가만히 있지 않았다. “7천만불 주면 안잡아 먹~지“. 제국의 파국을 돌아보는 글은 친절하기까지 하다. 옮기면 보안법에 저촉되려나? :p

그렇다고 지나친 불친절은 곤란하다. 가이다의 논문은 소련이 몰락한 원인으로 거듭된 흉년과 사우디의 원유 수출증대에서 찾는다. 군비경쟁과 비현실적인 외교정책은 돈먹는 하마, 소련은 원유와 개스를 수출하고 식량을 수입했다. 그리고 개혁 대신 신용이 좋을 때 외채를 꾸었다, 문제는 일시적이라 여기면서.

현재 미국의 국내 예산은 3500억불, 안보와 군사에 6000억불을 쓴다. 전세계 5% 인구가 25-30% 세계 GDP를 차지하니 꽤 생산적이지만 얼마나 버틸까. 돈이 돈을 낳는 ‘파생’이 이 꼴이 되었다.

실은 옮기고 싶은 글이 있는데, 책갈피를 잃어버렸다. 치솟는 환율과 주식시장의 파고.. 탓은 물론 아니다.

미국 서부 순회 공연을 시작할 캐롤의 블로그에 희귀한 물건이 올라왔으니 그걸로 대신하자. 미성년자 관람불가 :p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