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lou는 5월에 첫 앨범을 낸다는 san francisco 밴드. 미모의 첼리스트와 베이스 주자, 기타 잡이 그리고 트립스런 홍일점 보컬.
Category Archives: music / 음악
the pretenders @the warfield – 03/30/2006
한물 간 밴드 프리텐더즈, 라디오에서 쉽게 듣게 되는 음악 가운데 왠지 끌리는 데가 있는 밴드. 해서 그리 좋아하지 않는 무대인 the warfield 지만 (1층 바닥 표가 아니었다면) 예매를 했습니다.
그리고 나서 보니 미리 알았으면 생각을 달리 했을 밴드 the czars 가 오프닝이지만 noise pop 의 일환으로 sea and cake 의 sam prekop 과 archer prewitt 의 공연에 같이 서는게 아닙니까. pedro the lion 의 dave bazan 도 함께.
예매한 표를 어떻게 처분하고 마음을 달리할까도 생각했지만, 차라리 잘된 일인지도 모릅니다. 놀 것처럼 그랬다가 혼자 숙제해가는 기분은 좀.. 자기 공연도 아니고 오프닝인걸요. 뭐 좀 아쉽긴 하지만.
카메라도 맡기고 들어가야 하는 공연이라 처음부터 좀 씁쓸했는데, 풋풋한 네 청년 밴드의 오프닝이 이미 시작했더군요. 그래도 무대에서 멀지 않는 곳에 자리를 잡고 섰습니다. 관객의 평균 연령을 낮추는데 공헌하는 기분은 오랜 만이라 묘하기도 했지 뭡니까.
70년대 말부터면 까마득하죠. 꾸준하게 지속해 온 것은 크리시 하인드 뿐입니다. 1951년 생이니 부모님 연배에 가깝지만, 꽤 여전한 모양에 다듬지 않은 머리칼도 마찬가지더군요. 작은 하모니카를 물고 무대로 올라왔고, 어린 시절 그 음악을 즐겼을 아저씨 아줌마들이 담배 아닌 뭔가에 불을 붙이곤 했습니다. (네, 샌프란시스코죠)
나쁘지 않았습니다, 거기 위에 늙은이노땅들(old timers) 여전하냐고. 우리 이렇게 이게 무슨 꼴이냐고 농담을 해가며 여유있는 모습을 보이는데 사람들이 또 좋아하더군요.
좋게 싫게 비집고 앞으로 옆으로 가는 사람들이 있는데, 개 중에 한 사내가 있었습니다. 길게 자란 곱슬머리를 묶고 모자를 눌러쓴 이 남자, 어딘가 좀 이상해 보이지 뭡니까. 옆에 바짝 서더니 살짝 비켜주니 앞으로 들어가는데, 앙상한 팔을 쳐들고 손을 가볍게 흔듭니다. 내가 왔으니 제발 봐달라는듯이 한 마디 없이 조용하게. 그리고 고개를 숙이고 가끔 팔을 쳐들고 손가락을 그리더군요. 왠지 애처롭고 처연하달까, 뭔가 사연이 있었는지도. 같이 나이를 먹을 팬이, 밴드가 있다는 것이 어떻게 그렇지 않을까요.
밴드가 무대를 내려갔다 올라오고, 언저리 한 아저씨의 용기에 덩달아 전화기 카메라를 꺼내 보았다가 무대 곳곳을 지키던 한 친구과 잠시 얘기를 나눠야 했습니다. 보통 가는 곳들은 어설픈 디지탈 카메라 정도는 묵인해 줍니다. 공연 중에 플래시를 터뜨리는 것은 삼가해야죠. 몇 년 만이라 워필드 기준이 달라진 건지, 그래도 꽤 유명한 프리텐더즈라 삼엄했는지 모르겠군요. 미련이 있던 것도 아니고, 얌전히 지우고 돌아갔지요. :p
나오니 비가 내렸습니다. 맑은 날이 얼마 되지 않아 비내리기로는 기록을 갱신할 거라는 소문이 들리는 3월도 이제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arab strap @cafe du nord – 03/25/2006
a whisper in the noise 는 미네소타 출신 west thordson 중심의 밴드.
드럼, 베이스, 프렌치 혼, 신디사이저와 마이크 셋, 워키토키.
단단한 드럼에 이펙터를 건 베이스, 가끔 우울하고 생각에 잠긴 음악.
그리고 프렌치 혼의 재발견.
bitter sweet symphony / wikipedia
bitter sweet symphony 는 꽤 유명하지 않을까요.
흐리고 결국 비가 내린 금요일, 동네 방송국 에서 노래를 고른 dj 가 노래도 노래지만 위키 에서 verve 나 bitter sweet symphony 로 찾아보라고 덧붙였습니다. 그 얘기 한번, 하고..
1997년 6월 영국, 1998년 미국에서 떴던 노래입니다. 당시 빛나던 브릿팝(!) 밴드 버브의 보컬 애쉬크로프트가 작사를 했지만, 롤링스톤즈의 1965년작 the last time 을 andrew oldham orchestra 녹음으로 차용했기에 믹 재거와 키스 리차드의 이름이 올라있었죠.
그런데 이 저작권이란게 엮이고 꼬이고 복잡해서, 환장하게 만들고 맙니다. 손꼽는 성공작이 맘대로 안되고, 경제적으로도 보탬이 안되고. 해서 싱어의 우울증이나 밴드의 해체에 기여했다고도.
그리고 드라마가 되는데, 하이드 공원 live 8 공연에서 콜드플레이의 마틴이 ‘아마도 최고의 노래’로 소개를 하고 애쉬크로프트가 열연. 그의 공연에는 가본 적이 없지만 마지막으로 부르곤 했다는데요. 음악 케이블 vh1 에서 문제의 현악부 없이 녹음하던 가운데에도 노래에 대한 사랑을 변함없이 확인했다는군요.
게이츠헤드에서의 공연에서 이 노래를 재거와 리차드에게 바친다고 하자 누군가 야유를 했답니다. ‘그러지 말아요. 노래를 부를 수 만 있다면 돈이야 기꺼이 주고 말구요’
기타주자였던 nick mccabe 는 애쉬크로프트와 남들의 노래이지 버브의 것이 아니라고 언짢아 했다고 합니다.
그래도, 브릿팝의 유산 아닐까 싶네요.
belle and sebastian @sf design center – 03/21/2006
네, 벨과 세바스찬입니다. 공교롭죠? 얼마전 이사벨을 본걸 생각해 보면..
만나고 헤어지는 일이 쉬울 수는 없잖아요?
프란츠네를 보았던 sf 디자인 센터 concourse 였습니다.
오프닝은 네코가 없는 the new pornographers.
오프닝이라 음향은 대충 맞춘 티가 역력해도 좋았습니다.
bleeding heart show 를 따라 불렀지요.. (-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