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스, 마약 그리고 블로그 – 아티스트 2.0 ?

nytsex, drugs and updating your blog라는 흥미로운 기사가 실렸다. 클라이브 톰슨 clive thompson의 글을 줄여 옮겨본다.

조나단 콜튼 jonathan coulton의 예를 보자. 프로그래머를 그만두고 매주 한 곡씩 써서 블로그에 올리는 것으로 전업 가수의 길을 시작했다. 톰 크루즈도 좋고, 경험으로 알고 있는 끝없는 프로그래밍도 모두 노래감이다. 1년 반 쯤 지나 그의 프로젝트가 알려지기 시작했다. 매일 방문자는 평균 3000 명 이상, 인기곡은 50만 번이 넘게 다운되었다. 일상사를 털어놓는 블로그와 음악에 팬들의 관심도 대단해서 매주 새 노래에 어울리는 그림을 그려주기도 하고, 공연과 기자를 다루는 요령도 조언해준다. 가수와 팬이지만 일방적인 관계가 아니란 얘기다.

9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팬들을 만나는 기회는 드물었다. 공연이 끝나고도 기다린 팬들 정도. 그러다 인터넷이 밀려들었다. mtv나 잡지 만이 아니라 친구의 입을 통해, 사이트 주소를 주고 받고 mp3, 이메일, 블로그와 마이스페이스 myspace. 전화기로 찍어올린 유튜브 youtube 동영상. 작년 영국에서 떠오른 아크틱 멍키즈 arctic monkeys가 인터넷으로 성공한 좋은 예다.

1류 스타들은 물론 마케팅과 매체에 의존하지만 소위 ‘인디’ 음악인들의 새로운 세대가 그런 경우랄까. 어떤 경우는 인터넷이 없었더라면 가능했을지도 의문이다. 콜튼의 소득 41%는 노래(디지털), 3/4 정도는 자신의 사이트에서 팔린다. 29%는 cd 판매, 18%는 공연 표를 파는 수익이다. 나머지 11%는 t셔츠, 물론 온라인 포함해서.

그와 같은 아티스트들은 유연한 가격을 시도하기도 한다. 그의 노래 대부분은 공짜로 받을 수 있다. 팬들이 노래를 사는 이유는 그에게 돈을 보내기 위해서다. 캐나다 가수 제인 시버리 jane siberry는 보다 적극적으로 ‘자유가격 pay what you can’을 고안했다. 노래마다 사람들이 지불하는 평균가격을 함께 표시하면서. 일종의 공정가격이 형성되는 셈인데, 그 결과는 흥미롭게도 한 곡에 $1.30, 아이튠즈 itunes보다 비싸다.
Continue reading

sf in sf – 2007/05/16

여의도에서 알려주신 정보로 찾은 sf in sf.

cory doctorow rudy rucker & terry bisson rudy rucker

코리 닥터로우 cory doctorow, 루디 러커 rudy rucker. 테리 비손 terry bisson이 소개를 하고 두 작가가 단상에 올랐다. 닥터로우는 내년 5월 출간 예정인 신작 little brother 에서 한 장을 읽었고, 러커는 앨런 튜링 alan turing을 소재로 한 단편을 읽었다. 활기찬 닥터로우는 털털하게 등장, 종이 상자를 낭독대로 활용하는 재치를 보이기도. 베이브리지가 무너지고 경찰이 통제하는 근미래의 샌프란시스코, 권력에 맞서는 젊은 주인공들이 나오는 이야기인듯. 러커는 아무래도 더 점잖더라. 그렇게 이야기듣는 것도 재미있던데. 토론까지는 지켜보지 못해서 조금 아쉽다.

Variety Children’s Charity, 태키온 출판사 tachyon publishing, 보더랜드 서점 borderlands-books에서 협찬하는 행사는 다음달도 이어질 것.

I wish I were in love again – lorenz hart

잠들지 못하는 밤,
매일같은 다툼,
정상에 닿으면 미끄러지는 썰매처럼–
그리운 그 입맞춤과 묾.
다시 사랑에 빠졌으면 좋겠네!
바람맞고,
하염없이 기다리고,
그렇게 사랑하고 그렇게 미워하고,
그릇을 던지는 대화–
다시 사랑에 빠졌으면 좋겠네!
아픈 것도 없고,
신경쓸 것도 없고,
이제 말짱한 정신이지만, 그렇지만 …
차라리 두들겨 맞아 정신이 없다면!
들개나 고양이에게서 뜯어낸 가죽처럼,
그와 그녀의 섬세한 부조화–
깨달았지만, 그래도 나는
다시 사랑에 빠졌으면 좋겠네.
남몰래 한숨,
멍이 든 눈,
‘나 죽는 날까지 사랑하오’라는 그 말,
스스로 속이고 그 거짓말 믿고–
다시 사랑에 빠졌으면 좋겠네.
사랑이 말라붙으면
금세 드러나리
재주넘는 물개의 희미한 냄새,
두 발이 꼬이듯 하는 배신.
다시 사랑에 빠졌으면 좋겠네!
더 이상의 배려도.
실망도.
이제 다 알지만,
차라리 두들겨 맞아 정신이 없다면!
진심입니다만,
그와 그녀의 고전적인 싸움이 더 낫납니다.
고요함은 마음에 들지 않고 나는
다시 사랑에 빠졌으면 좋겠네!

Continue reading

kfog kaboom 2007

카붐 kaboom은 올해도 찾아왔다. 14년을 맞은 이 불꽃놀이 한마당이 이번에는 공짜가 아니다. 최근 몇 해에 걸쳐 비용이 거의 두배가 되어 kfog 방송국 혼자서 감당이 안된다나. 그래서 예매 $10, 현매 $15로 비용을 추렴한다고. 느즈막히 bart를 타고 장외로 향했다.

kaboom #1 kaboom #2 kaboom #3
Continue reading

알라딘 안싸다?!

이국에 있으면 책이나 음반을 구하는 일이 문제가 된다. 인터넷에 전자상거래가 어색하지 않아 졌지만, 배송비에 결제방법이 그렇고 종종 특정 브라우저만 지원하기도 한다. 알라딘us를 꽤 써왔는데, 남부 캘리포니아에 지점이 있어 배송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장점 때문이다.

그런데, 얼마나 저렴한 것일까?
보관함에 쌓아두었던 책과 음반 중 골라 결제를 하려고 보니 가격이 좀 의아한 것이 있다. 알라딘 국내 사이트에서는 12,000원인 책이 알라딘us에서는 $24.00이 아닌가.

그래서 물어봤더니 답이 왔다.

안녕하세요?
알라딘 고객센터 *** 입니다. 문의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알라딘US를 통해 판매되는 도서는 국내에서 미국까지 운송되는 도서의 운송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때문에 국내에서 구매하실 때보다 가격차이가 있습니다. 도서에 표기된 가격에는 미국내에 입수된 후의 운송료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책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199을 초과하여 배송료가 무료인 이번의 경우 주세를 제외하면 $310.37이다. 똑같은 물품을 국내 사이트에서 장바구니에 담았더니 185,420원. 기준 환율이 대략 930원이니 $200 정도라고 하자. 그러면 $110, 이 배송료 별로 싸지 않은데 (-ㅅ-);

알라딘 고객센터 faq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10. AladdinUS의 도서판매가격은 왜 이렇게 저렴합니까?
AladdinUS의 할인정책은 파격적입니다. 이러한 할인정책은 미국의 한인서점들이 가지는 재고부담을 극소화하고 한국으로부터의 대량운송으로 물류비용을 절감했기에 가능합니다. AladdinUS는 그 혜택을 고객과 나눔으로써 동일한 예산으로 더 많은 책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해드립니다.

welcome to capitalism :p
예전보다 가격이 조금 오른 듯도 하고, 어쨌거나 절제는 미덕이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