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will i die ?

글쎄 왜 이런걸 찾아주시냐구요! :p

wp 에서 이글루로 트랙백이 잘 안가는군요.

You scored as Suicide.
Your death will be suicide. What more can I say?
Fact: Suicide is a permanent solution to a temporary problem. If you want to know how you will commit suicide, take a look at your second highest percentage on the bar graphs.

Suicide

80%

Bomb

60%

Disappear

60%

Eaten

53%

Suffocated

47%

Disease

40%

Gunshot

33%

Cut
Throat

33%

Natural Causes

33%

Drowning

33%

Posion

33%

Stabbed

20%

Accident

20%

How Will You Die??
created with QuizFarm.com

the libertine – laurence dunmore

나를 싫어하게 될겁니다.
지금 싫어할 뿐 아니라, 갈수록 훨씬 더 좋아하지 않게 될거라구요.

어둠 속에서 암울하게 나직하게 얘기하는 주인공은 john wilmot, 17세기 런던의 시인, rochester 백작을 연기하는 것은 johnny depp 이다.

lib2.jpg


왕정복고로 자리에 앉은 찰스2세의 총애를 받지만 이 난봉꾼은 명예나 권력, 예의에 전혀 개의치 않았다. 술과 육체에 심하게 탐닉한 이 사내의 열정은 현실에 있지 않았다. 희극의 무대가 그가 찾은 안식처.

그의 주장에 따르면, 당신을 싫어하는 사람에는 두 부류가 있다. 어리석은 자와 질투하는 자. 어리석은 자는 5년이 지나면 당신을 좋아하겠지만, 질투하는 자는 영원히 싫어하리라. 헤, 멋들어진 허세다.

방탕한 생활에도 불구하고 행복하지 않은 이 사내, samantha morton 이 연기한 여배우 elizabeth barry 에 주목하여 연기에 대해 지도를 하겠다고 나서고. 그녀와 사랑에 빠진다. 자신의 뜻대로 되지 않은 때문이었을까, 남들과 다른 그녀의 주장과 목소리 때문이었을까.

거듭된 추방과 사면에도 국왕의 신뢰는 이어지지만, 술과 향락에 찌든 영혼은 신랄한 조소로 자신을 위태롭게 한다. 결국 매독으로 죽음을 맞는 그는 임종을 앞두고 무신론자임을 밝혔다고 한다.

laurence dunmore 의 첫 영화는 꽤 야심찬 소재를 골랐다. 진흙범벅 런던의 거리와 극장을 재현하는 일은 쉽지 않았을터. 아쉽게도 뎁의 어둡고 가망없는 난봉꾼 연기 말고는 제대로 살리지 못했다. 모튼의 연기는 좋은 편이고, 찰스2세를 연기한 말코비치나 백작부인 파이크, 시종 코일도 나름대로 괜찮긴 한데. 흥미로운 면면이 있지만 감독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분명하지 않다. 작정하고 망가지는 인물 만 그리면 뒤로 갈수록 대책이 안서지 않나.

다시 어둠 속에서 그가 재차 묻는다,

do you like me now? do you like me..?

isobel campbell @cafe du nord – 03/08/2006

papercuts는 jason quever 가 중심인 밴드.
DSCF3018.jpg 나른한 emo, 인디 팝을 들려준 무명 밴드랄까. 복고 맛에 쌈마이(lofi) 소리가 나쁘지 않았다.
DSCF3002.jpg

magnet은 even johansen, 노르웨이의 감성으로 우울하고 달콤한 노래를 부르는 사내. 샘플러에 스위치들을 늘어놓고 혼자 기타로.
magnet 1 미국에 빠진 유럽인. 앨범이 공연보다 더 좋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서정가라 음악에만 몰입하기에는 아쉬웠거든. 조금 너무 곱상하달까, 조금만 덜 애절하거나 더 거칠었으면 좋았을텐데.
magnet 2
i’ll come along 좋다.

belle & sebastian 에서 첼로와 노래를 했던 isobel campbell 의 새 앨범 ballad of broken seas 는 screaming trees 와 queens of stone age 에서 노래를 했던 mark lanegan 과의 프로젝트.
isobel 1 지치고 닳은 그의 목소리가 이사벨을 돋보이게 한다. 여러가지 해석이 가능하겠지만, 꽤 어울린다.
isobel 3
공연에 함께 한 것은 vaselines 의 eugene kelly,
isobel 2 teenage fanclub 의 dave mcgowan,
isobel 4
드럼에 dave gormley,
soup dragons 에서 기타를 쳤던 jim mccullogh!
isobel 6

감기에 시달리면서 투정을 좀 했지만 미국에도 처음 왔다던데.
isobel 5

come walk with me 가 유난히 기억에 남았다.

animal collective @the fillmore – 03/05/2006

barr 는 l.a. 출신 brendan fowler 의 별명 혹은 그의 프로젝트.


십대의 고민 그리고 사회에 대한 얘기를 쏟아내는 mc 1인 무대.


말로 하는 무대는 뭐라고 평가하기 곤란하다. 매끄럽지는 않았지만 당황하지 않고 붐박스에 마이크로 얘기를, 랩을. 퍼뜨리고 싶은 생각이 있다면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세 소녀 first nation, 드럼, 기타, 건반과 아이팟을 가지고 미니멀한 실험음악을 선보였다. 무대에 당황하는 모습이 역력했지만, 나름대로 흥미로왔다. 연주도 소리도 습작에 가깝지만, 60/70년대 히피가 아니라도 인도 전통 선율과 영창을 섞어 볼 수 있는게지.



animal collective는 매릴랜드 출신의 4인조.

avey tare(a.k.a. dave portner)와 panda bear(noah lennox)가 시작한 프로젝트에 deakin (josh dibb)와 geologist(brian weitz)가 동참했다고 한다.


최근 앨범 feels 로 흥미를 갖게 되었는데, 자칭 psych folk, noise rock 으로 지칭하는 조금 실험적인 락.


흔히 보는 드럼셋과 베이스가 없이, 판다곰 노아가 맡은 간소한 드럼셋과 지질학자 브라이언이 다루는 장비가 전선이 주렁주렁 엮인 채(md도 오랜만에) 무대 가운데 앞뒤로 자리했다.


애비와 디킨, 기타가 둘이지만 역시 거기에도 스위치랑 페달이 꽤 달려있고 반향에 효과를 잔뜩 먹인 사이키델릭 테크노 굿판.


딱딱 부러지는 테크노가 아니라 웅웅거리듯 맴을 도는 소리에 노래도 가끔 했지만 소리를 지르거나 곡을 하듯 내지르는 음성을 다시 샘플링. 팝 센스를 잃지 않은채 주술적인 분위기로 긴장을 고조시키는 음악은 꽤나 효과적이었다.

해서, 이번에는 약기운에 방방 뛰는 젊은이들이 수두룩했다. 그래도 좀 나았지만 :p

why we fight – eugene jarecki

eugene jarecki 의 다큐멘터리는 그 제목을 2차 대전시 카프라가 만들었던 일련의 프로파간다에서 빌렸다. 독전과 애국심 고취가 목적이었던 카프라의 영화와는 사뭇 다른 회의를 던지기 위해. (트레일러. 공식 사이트)

군산복합체라는 말을 처음으로 쓴 것은 미국의 군인출신 대통령 아이젠하워였다. 영화를 시작하는 퇴임연설에서 그는 수백만이 종사하고 있는 방위산업과 이해단체에 대한 경고를 했다. 무기와 돈의 만남은 미국을 영원한 전쟁상태로 몰아넣을거라는 경고는 현실로 이어졌다. 불과 몇년 전까지 전장은 미국 바깥이었지만.

9/11 에서 아들을 잃은 전직 경관의 고백을 통해 아마도 일반적인 미국인의 시각을 조금 담고, 그 귀에 전하려 애썼다. sekzer氏는 아들을 잃은 분노에 적으로 주어진 이라크를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메일을 보내어 무기에 아들의 이름을 쓰고 복수심을 잠시 달랜다. 그러나 이라크와 9/11 의 무관함을 부시가 인정하자 그는 배신과 허탈함에 치를 떤다.

방산업계와 군, 의회. 그리고 갈수록 영향력이 커지고 있는 씽크탱크들. 군과 정부의 관계자들은 무기업계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정치가들은 지역에 공장이 있다면 반대하지 않는다. 끊임없이 적을 찾고, 공격을 하고, 소비를 하고, 미국이 주장하는 자유시장을 넓힌다. 그 곳에서 미국 기업이 돈을 벌기 좋도록. 월남전과는 달리 정보는 가공되고 통제되기도 하거니와, 자본의 논리와 이해득실을 따지면 진실은 그리 수익이 크지도 않다. 복잡하고 비관적인 현실보다 간단명료한 애국심 고취가 달콤하고 후련하게 잘 먹히는 것은 뭐. 통계와 기록을 쫓아가는 일은 흥미롭고 역사에서 교훈을 찾는 일은 과제를 던져준다.

다들 알고 있는 사실이라고 무시한다면, 어떻게 접근하고 다루어야 하는 것일까? 듣고 싶어 하지 않는 사람들의 관심을 얻고 사람들의 마음을 여는 방법은 과연 있는 것일까?

영화의 내용에 동의하는 사람만이 볼 것이라는 지적은 여전히 맞을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