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르 tor.com 새 단장 外

출판사 토르 Tor.com가 새 단장을 했다. 스캘지, 윌슨, 터틀도브 등등 소설을 골라 통째로 올리고 표지도 고해상도 이미지로 인심까지 썼다. 모르면 후회한다. 😉


찰스 스트로스가 순회공연 길에 올랐다. 다음주 29일에는 샌프란시스코 다운타운에 온단다. 토성애들 Saturn’s Children을 사서 서명을 받을 기회다. :p


10월에는 캐롤이 온다고 한다. 최근 블로그에서 기억에 남는 구절을 옮긴다. 어색한 번역이 원문의 맛을 아주 잃지는 않았으면.

우리는 각자의 진짜 커다란 희망이었고 운좋게도 재빨리 이를 알아차렸다. 행운이 당신 앞에 갑자기 나타나면, 의심을 갖게된다. 뛰어들까 망설이게 된다. 그러나 우리는 이미 외로움의 시간을 충분히 보낸터라 같이 있으며 만족할 사람이 많지 않다는 것을 알았다. 다시 말해서, 너무 뜸들이지 마시라.
‘젊은 시인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릴케는 카푸스의 시를 베껴 답했다. ‘이제 내가 이 사본을 보내는 이유는 자신의 작품을 다른 사람의 필적으로 재발견하는 것이 새로운 경험으로 충만한, 중요한 일이기 때문입니다. 시를 당신이 처음 보듯 읽는다면, 얼마나 당신 자신의 것인지 당신의 영혼에서 느끼게 될 것입니다.’

이 위인이 팬의 시를 손으로 베낀다는 생각은 언제나 나를 깊이 감동시킨다. 그 너그러움! 누가 그런 생각을 할까?
그리고 나는 그녀를 만났다. 그녀는 나의 존재와 믿음을 많이 받아들이고, 자신의 도장을 찍어 내가 처음 보는 것 처럼 내게 되돌려 주었다. 타인이 그들 자신의 시각으로 고쳐 당신을 당신 자신에게 돌려주고자 하는 욕구, 어쩌면 그것이 사랑이 아닐까.

une vieille maîtresse – catherine breillat

d’Aurevilly의 1830년대 소설을 바탕으로 만든 영화. 점잖치 못한 19세기 프랑스의 방탕아 이야기랄까. 돈없는 귀족 마리니는 젊고 부유한 에르몽가드와의 결혼을 앞두고 있다. 그러나 소문이 그녀의 할머니 후작 미망인의 귀에까지 들어간다. 곱상한 바람둥이가 10년이나 빠져들었던 정부 벨리니의 이야기를 밤새 털어놓아야 한다.

the last mistress

뇌졸중으로 쓰러졌다가 의지로 회복한 카트린 브레이야 Catherine Breillat의 재기작이다. 오페라와 연회, 화려한 옷차림과 장식이 화면을 채운다. 이야기는 복잡하지 않다. “제 버릇 못 버린다.” 왼쪽 가슴에 총알을 맞아가며 구애하는 마리니, 에이타투 Fu’ad Ait Aattou의 미모는 상속녀 메스퀴다 Roxane Mesquida와도 잘 어울리지만 결혼도 그럴까.
Continue reading

tomorrow’s everyday – charles stross by damien g walter@guardian

가디언에 올라온 Damian G Walter스트로스 인터뷰. 설렁설렁 옮겨보자.


“가상현실의 킬러 애플리케이션은 ‘사람’이었다는 겁니다”… (사진 잘 나왔네)

SF작가 찰스 스트로스와 이메일을 주고받던 중 – 5년 전 만 해도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가상면담은 꽤 낯선 일이었을게다 – 문자 통신은 이제 거의 해묵은 느낌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스트로스의 소설에서 발췌했을 법 한 깨달음이다. 요즘 세상에 이메일 테니스는 일상적이라 지루하고, 기술이 규범이 되어 생활을 바꾸는 현상은 그의 소설에서 되풀이되는 주제다. 최첨단 기술에 치중하지만, 스트로스의 세계관은 환상적이면서도 일상적이다.

그는 한가지 공식을 반복하는 상업쟝르의 압력에 반하여 과학소설(SF)의 다양한 하위쟝르를 다룬다. “옛날부터 전업작가가 되려고 마음먹었지요,” 그의 설명이다. “하지만 쉽게 싫증내는 성격이라, 비슷한 책을 더 쓰라는 요구를 강하게 거절했습니다.” Singularity Sky같은 스페이스 오페라 뿐 아니라, 러브크래프트風 괴기물+영국 냉전 첩보물 연작, 젤라즈니파이퍼 H Beam Piper를 연상케하는 “팬터지 아닌 팬터지”까지.
Continue reading

encounters at the end of the world – werner herzog

친구 카이저 Henry Kaiser의 수중사진을 보고 남극행을 결심했다는 베르너 헤르초크 Werner Herzog는 남극 McMurdo 기지로 간다. 맥머도는 19세기 탐사선 테러에서 해도를 만든 사람, 시몬즈의 책에 나온 그 테러號다.

세상 끝에서의 만남

금융권에 종사하던 점보버스 운전사, 언어가 없는 곳의 언어학자, 잉카의 혈통을 주장하는 배관공의 손가락, ‘손가방’ 공연을 펼치는 골수 무전여행자, 펭귄을 관찰해온 무뚝뚝한 조류학자.. 묶인 데가 없어 남쪽 끝으로 떨어진, 전업 여행자에 부업으로 막일하는, 꿈을 꾸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 영화는 가볍게 한가롭게 담은듯 보이지만 실제 그랬을리가. 감독은 집요하고 꼼꼼하고 독특한 사람 아닌가.

용암이 분출할때는 뒤돌아 달아나면 안된다. 허공에 뜬 분출물을 바라보며 낙하점을 피해야 한다.

Continue reading

무식하면 용감하다 – 이두호

무식하면 용감하다 ‘바지저고리’만 그리는 만화가 이두호의 만화 인생. 작가의 성장기와 작품들, 한국의 만화 검열과 교육에 대한 이야기가 그림과 함께 담겨있다.

1/3 정도를 차지하는 성장기 ‘나 만화 그린다 어쩔래’가 재미있다. 한 우물을 판 고집장이의 이야기에서 사람냄새가 난달까. 만화를 좋아도 했으니, 열거된 작품 가운데 기억이 나는게 적지 않다. 그림솜씨와 개성있는 이야기에 눈을 뜨기도 전에 본게 많아 아쉽기도 하다.

어두운 서울 시내를 바라보며 역에 혼자 서 있던 때의 그 을씨년스럽고 막막한 기분은 아직도 안 잊혀진다. 그 진한 어둠 속에 혼자 있으니 얼마나 외롭던지······. 정말 세상천지에 나 혼자라는 걸 절감한 시간이었다. 그때 누군가 곁에 있었으면 하고 간절하게 바랐던 기억이 난다. 나중에는 여인숙에서 자기도 하고 아는 사람에게 신세를 지기도 했지만 신 새벽의 서울은 오랫동안 익숙해지기 힘들었다.
이 길을 가려고 했던 게 아닌데 자꾸자꾸 걷게 되는 길. 그걸 사람들은 운명이라고 말한다. 그렇다면 중학교 때 내가 그렸던 첫 장편만화 <피리를 불어라>는 과연 나의 운명이었을까. 단 한 순간도 만화가의 길을 생각한 적이 없었던 내가 우연한 기회에 그리게 된 한 편의 만화가 어쩌면 내 운명이었는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사람들이 뭐라고 하든 나는 ‘운명’이라는 말을 결코 순응적으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아니, 오히려 인생이라면 길다면 긴 길을 걸으며 언제나 함께하는 운명이라면 나는 나와 의견이 다르면서도 함께 붙어 있는 길동무쯤으로 생각한다. 운명은 그냥 내게 주어진 것이 아니라 내 안에 있는 수많은 바람들과 현실이 피터지게 싸우며 얻은 나의 길인 것이다.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