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tter sweet symphony / wikipedia

bitter sweet symphony 는 꽤 유명하지 않을까요.

흐리고 결국 비가 내린 금요일, 동네 방송국 에서 노래를 고른 dj 가 노래도 노래지만 위키 에서 verve 나 bitter sweet symphony 로 찾아보라고 덧붙였습니다. 그 얘기 한번, 하고..

1997년 6월 영국, 1998년 미국에서 떴던 노래입니다. 당시 빛나던 브릿팝(!) 밴드 버브의 보컬 애쉬크로프트가 작사를 했지만, 롤링스톤즈의 1965년작 the last time 을 andrew oldham orchestra 녹음으로 차용했기에 믹 재거와 키스 리차드의 이름이 올라있었죠.

그런데 이 저작권이란게 엮이고 꼬이고 복잡해서, 환장하게 만들고 맙니다. 손꼽는 성공작이 맘대로 안되고, 경제적으로도 보탬이 안되고. 해서 싱어의 우울증이나 밴드의 해체에 기여했다고도.

그리고 드라마가 되는데, 하이드 공원 live 8 공연에서 콜드플레이의 마틴이 ‘아마도 최고의 노래’로 소개를 하고 애쉬크로프트가 열연. 그의 공연에는 가본 적이 없지만 마지막으로 부르곤 했다는데요. 음악 케이블 vh1 에서 문제의 현악부 없이 녹음하던 가운데에도 노래에 대한 사랑을 변함없이 확인했다는군요.

게이츠헤드에서의 공연에서 이 노래를 재거와 리차드에게 바친다고 하자 누군가 야유를 했답니다. ‘그러지 말아요. 노래를 부를 수 만 있다면 돈이야 기꺼이 주고 말구요’

기타주자였던 nick mccabe 는 애쉬크로프트와 남들의 노래이지 버브의 것이 아니라고 언짢아 했다고 합니다.

그래도, 브릿팝의 유산 아닐까 싶네요.

우승열패의 신화 – 박노자

myth of social evolution 신화神話 에는 여러가지 의미가 있지만, myth 라는 낱말은 근거없는 믿음, 낭설을 뜻한다. 아무래도 우리 말은 아닌게지.

優勝劣敗, 사회진화론은 여전히 사람들의 사고를 지배하는듯 하다.
그렇지만, 강자가 약자를 뜯어먹는 것이 진리라면 그 모든 진리가 다 무엇인가?
강자를 진리로, 정의로 받아들이고 순응하는데 익숙한 나라도 있지만 그것이 당신의 신념이 되어야 하나?

근대사 우물을 파온 저자는 인종주의 제국주의 근대에 핍박받고 뒤쳐진 아시아에서 사회진화론을 물게 된 배경을 추적한다. 그리고 아시아에서의 영향과는 좀 달랐던 우리나라에서의 계몽 지식인들의 발자취를 쫓았다. 정신과 현실의 괴리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선택, 그 포부와 한계에서 아직 정리하지 못한 오늘날의 숙제를 되짚어 본다.

일련의 저작에서 다루었던 이야기들이 조금 매듭지어지는듯, 아직 기대가 더 남지만 추천하고 싶다.

보론에서 밝히는 역사관과 고민도 싱그럽다.

belle and sebastian @sf design center – 03/21/2006

네, 벨과 세바스찬입니다. 공교롭죠? 얼마전 이사벨을 본걸 생각해 보면..
만나고 헤어지는 일이 쉬울 수는 없잖아요?

프란츠네를 보았던 sf 디자인 센터 concourse 였습니다.
오프닝은 네코가 없는 the new pornographers.
오프닝이라 음향은 대충 맞춘 티가 역력해도 좋았습니다.
bleeding heart show 를 따라 불렀지요.. (-ㅅ-)

pg 2 pg 1 pg 3
Continue reading

how to prevent hearing loss – wired

청력상실을 막는 방법 (original article)

Commentary by Eliot Van Buskirk

청력상실에 대해 떠들고 나서는 것은 나 뿐은 아니겠지만, 요란한 리허설이나 공연 후면, 꽤 심한 귀울림을 겪곤 했다. 많은 사람들이 스테레오나 tv, 차 안이나 헤드폰으로 뭔가를 듣는 요즘, 귀머거리 세대가 다가온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까. 좀 더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많은 사람들이 영향을 받을 것이다.

청력을 잃으면 소음에서 음성을 구분하는 능력부터 잃고, 친밀감을 잃게 된다. “뭐라구요?” 하고 묻는데 지쳐 앉아서 예의바르게 고개를 끄덕이지만 대화에서 배제된다. 음악과 음향을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들이 몇 시간씩 듣는 탓에 먼저 귀를 잃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더군다나 보통의 헤드폰은 또렷하게 들으려면 소리를 키워야만 한다.

이 컬럼의 독자 로라 가이라는 분은 왜 애플의 아이팟에 표기를 요청하지 않는가 물었다. 나의 물음에 그녀는 이런 얘기를 들려주었다.
“10년 동안 음악인과 결혼해서 순회공연을 같이 다녔죠…. 아이팟이니 헤드폰을 어려서부터 알지 못한게 다행이지 뭔가요. 더 심각했을 수도 있으니. 절제력이 있어서 귀가 아주 멀지는 않았답니다. 젊은 사람들을 보면 걱정이 들어요. 20년, 30년 후에 무슨 일이 생길지 생각하지 않거든요. 평균 연령이 높아지면서 나 같은 사람이 더 많아질 것 아닌가요.”

더 일찍부터, 우리는 고주파를 듣지 못하게 되고 여러가지 손상은 당신의 청감을 이빠진 칼처럼 만든다. 느껴지는 화음의 왜곡을 초래한다니, 음악감상의 측면에서 보면 섬찟한 일이다. 아주 좋아하는 음악을 여전히 듣더라도, 예전처럼 들리지는 않을지 모른다.

소음공해 정보센터의 레스 블롬버그는 청력상실에 적절한 비유를 들었다.
“잔디밭을 걷는다고 합시다. 밤새 꺾인 풀은 며칠이 지나면 괜찮아집니다. 그러나 걷고 또 걸어보세요. 길이 생기게 됩니다. 청력상실이 그런겁니다.”

블롬버그는 휴대기기의 출력을 사용자가 제어하는 방법을 고안하고 있다. 그는 구체적인 설명을 피했지만, 아마 아이팟에서 위험한 수준의 볼륨을 사용자가 알수 있게 하는 소프트웨어가 아닐까 짐작한다. 그게 뭐든지 두세 달이면 알게 될테지만.

애플은 아이팟의 내부를 개발자들에게 공개하지 않지만 청력상실에 대한 소송을 고려하면, 그의 소프트웨어와 계약을 맺을지 모른다. 소송의 결과는 두고봐야 알겠지만, 채널당 30mW(밀리와트)는 휴대기기 치고는 큰 편이다.

수백 년 동안 진화하여 일상적인 음량으로 소통하고 자그마한 소리에도 위험을 느낄 수 있는 청력에 대해 우리가 하고 있는 일은 무엇인가? 행동이 필요한 시점이다. 크게 듣는 만큼 나중에 못 듣게 되고, 사소한 조절이 지금부터 잃을지 모르는 청력의 정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청력상실을 방지할 블롬버그의 조언과 우리의 충고를 보시라.

지혜롭게 귀를 쓰자: 음악을 크게 들으면 좋다. 필자가 아주 잘 안다. 하지만 그럴거라면 가치있는 소리를 듣자. (칼로리를 따지듯 데시벨을) “굴착기나 트럭소리에 청력을 내주면 안됩니다. 큰 소리를 어느 정도까지는 소화할 수 있어요. 그렇다면 내가 즐기는 것들을 위해 아끼겠습니다.” 블롬버그의 충고다.

청력검사를 하자: 지겨운 소리인줄 안다. 하지만 귀에 변화가 있는지 아는 유일한 방법이다. 시력검사를 하듯(안한다고 마시라:역자) 매번 감각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으니까.

폐쇄형 헤드폰이나 소음차단 헤드폰을 쓰자: 소음에 대처하려고 볼륨을 올리는 사람들이 많다. 노래를 똑똑하게 들으려면 신호/잡음 비율이 좋아야 하니까. 볼륨을 올리는 대신, 잡음을 줄여서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폐쇄형 헤드폰(shure나 etymotic같은 이어폰도)이나 소음차단 헤드폰(블롬버그는 bose quitecomfort2를 추천)을 쓰자.

잔디 깎기 테스트: 깎을 잔디는 없어도 잔디 깎기가 뭔지는 안다. 블롬버그에 따르면 잔디깎기만큼 시끄러운 것이 있다면, 보호장치가 필요한거다. 그 만큼 시끄러운 음악이라면 비싸더라도 각 주파수를 어느 정도 걸러 줄 귀마개를 찾으시라. 맞출 수도 있다고 한다.

유전자에 관심을 갖자: 의사와 법률가들이 유전적 운명을 알게 해줄 때까지, 유전적인 청력상실의 실마리는 가계 뿐이다. 할아버지가 당신의 말을 못 알아듣는다면, 청력보호의 노력을 배가하시라.

담배를 끊자: 네, 흡연자의 건강은 걱정이 하나 더 늘었습니다. 흡연자 여러분의 건강에 주의점 하나 더. 흡연이 청력을 심각하게 망가뜨릴 수 있다는담배가 청력에 영향을, 꽤 미친다는 보고. 담배를 피지 않는 사람보다 1.69배 가량 더 위험하다고 한다.

담배는 유스타키오관을 따라 귀 속을 파고든다고나 할까.

볼륨을 낮추자: 음악을 들으면서 걸을때 조용한 노래가 나오거나 주위가 시끄러워지면 전반적인 음량이 너무 클때까지 볼륨을 올리곤 한다. (가재를 삶을때 온도를 조금씩 올리듯) 왠만하면 한단계 낮추고 음질이 여전한가 확인하자.

삶은 가재도 그렇지만, 망가진 귀는 되돌릴 수 없는 법이다.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