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식하면 용감하다 – 이두호

무식하면 용감하다 ‘바지저고리’만 그리는 만화가 이두호의 만화 인생. 작가의 성장기와 작품들, 한국의 만화 검열과 교육에 대한 이야기가 그림과 함께 담겨있다.

1/3 정도를 차지하는 성장기 ‘나 만화 그린다 어쩔래’가 재미있다. 한 우물을 판 고집장이의 이야기에서 사람냄새가 난달까. 만화를 좋아도 했으니, 열거된 작품 가운데 기억이 나는게 적지 않다. 그림솜씨와 개성있는 이야기에 눈을 뜨기도 전에 본게 많아 아쉽기도 하다.

어두운 서울 시내를 바라보며 역에 혼자 서 있던 때의 그 을씨년스럽고 막막한 기분은 아직도 안 잊혀진다. 그 진한 어둠 속에 혼자 있으니 얼마나 외롭던지······. 정말 세상천지에 나 혼자라는 걸 절감한 시간이었다. 그때 누군가 곁에 있었으면 하고 간절하게 바랐던 기억이 난다. 나중에는 여인숙에서 자기도 하고 아는 사람에게 신세를 지기도 했지만 신 새벽의 서울은 오랫동안 익숙해지기 힘들었다.
이 길을 가려고 했던 게 아닌데 자꾸자꾸 걷게 되는 길. 그걸 사람들은 운명이라고 말한다. 그렇다면 중학교 때 내가 그렸던 첫 장편만화 <피리를 불어라>는 과연 나의 운명이었을까. 단 한 순간도 만화가의 길을 생각한 적이 없었던 내가 우연한 기회에 그리게 된 한 편의 만화가 어쩌면 내 운명이었는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사람들이 뭐라고 하든 나는 ‘운명’이라는 말을 결코 순응적으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아니, 오히려 인생이라면 길다면 긴 길을 걸으며 언제나 함께하는 운명이라면 나는 나와 의견이 다르면서도 함께 붙어 있는 길동무쯤으로 생각한다. 운명은 그냥 내게 주어진 것이 아니라 내 안에 있는 수많은 바람들과 현실이 피터지게 싸우며 얻은 나의 길인 것이다.

Continue reading

도자기 – 호연

도자기 - 마음을 담은 그릇 네이버에 연재했던 웹 만화 도자기가 책으로 나왔다. 웹에서 가끔 본적이 있는데, 적당하게 두툼한 책이 예쁘다. 웹으로 보는 것도 좋지만 책장을 넘기는 맛만 할까. :p

고고미술사학을 공부한다는 상황을 독특한 소재로 근사하게 활용했다. 도자기, 신변잡기, 주위의 사람들을 퐁당퐁당 그려낸다.

짤막짤막하게 넘어가고 무겁지 않으면서도 참한 만화. 선물감으로도 훌륭하다. (잘 봤습니다 :))

서울시청 광장의 촛불과 캘리포니아의 산불, 불꽃놀이와 장마 처럼 연관이 없을 일에서 의미나 답을 찾는게 사람의 마음일까, (바쁠수록) 백일몽에 잠기는 게으름일까. 아스트랄계의 공식에 의하면 놀고먹었다니 흐 :p

책에 대한 기억과 장소 혹은 상황에 대한 기억은 Eels 말 따나 ♫selective memory, 기억 마음대로 인걸까. 기억에 따로 마음이 있을리 없지만, 호젓한 추억이 쓰지 않다면 괜찮지 않을까. 여름의 더위와 계절에 어울리지 않는 상황에서 다들 건강하시라. 색깔이 이상한 물이 당신을 피해가기를.

을지로 순환선 – 최호철

을지로 순환선 서울은 크다, 넓다, 사람이 많고 집도 차도 회사도 학교도 돈도 너무나 많다. 역사와 유적과 개발과 변화가 들어차 넘치는 곳이 서울이다. 그런 서울을 그린다는 일을 온전하게 생각하기는 어렵다.

어딘가 기사에서 보고 을지로순환선을 책갈피에 접은게 2006년인데, 책이 이제서야 나왔다.

만화일까 그림일까. 만화는 단순하게 어쩌면 간결하게 이야기를 담고 칸으로 나누어 전하는 것인가 보다. 그러면 그림은 꼭 나눌 수 만은 없는 빛깔을 화폭에 올리는 것일까. 그림이라고 할지 만화로 보아야할지 그 사이를 오가는 것일지 판단하기는 어렵다. 꼭 나눌 필요는 없을지 모른다. 그래서 ‘이야기그림’이라고 했을지도.

얼마나 많은 그림을 그렸을까. 빼곡하게 거리와 버스와 집들이 있고 사람들이, 일상의 조각들이 숨을 쉰다. 그 색깔과 선이 시선을, 사람을 느끼게 한다. 그리고 그 창은 다시 나의 눈에 보이는 세상에 겹쳐진다. 굳이 서울이 아니더라도, 도회가 아닐지라도 그림 속에서 세상을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