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low the sea, 비오는 밤에는

아는 분의 아이가 멀리 떨어진, 기숙사가 있는 고등학교에 합격을 했다. 알게 모르게 벌어지는 차별과 벽에 은근히 고생을 했었는데. 그 와중도 용기를 잃지 않고 꿈을 키웠나 보다. 좋다는 학교이긴 하지만, 먼 곳으로 선뜻 보내기도 마음먹기 쉬운 일은 아니어서. 학비도 부담이 되니 장학금이나 보조가 없으면 어렵다고 의사를 밝혔는데, 그 학교에서 그 것까지 승낙을 했나 보다.

좋은 일인데, 열 너댓 꼬마를 혼자 반대편으로 보내기가 쉬운가. 나같은 사람은 상상할 수 없지만 이런저런 고민이 많으신 모양이다. 임시라고 학교 부근으로 옮겨볼 생각도 하고 계시다.

해서 말씀드렸다, 해도 좋은 걱정이라고. 편하게 집 가까이 학교를 다닐 수도 있지만 다른 것을 찾을 마음이, 욕심이 있는게 소중한 일이니까. 그런 욕구와 갈증을 이어가기가 쉽지 않으니까, 일찍부터 원하는 일을 찾기가 쉽지 않으니까. (스스로 찾을 수 없는 허황된 물욕은 논외)

아이스크림 장사를 하는 아들과 우산 장사를 하는 아들을 둔 어머니 얘기는 한번 쯤 들어봤을게다. 아마 어느 선생님이 졸음에 지친 교실에서 들려주었을텐데. 그 근원이 궁금하기도 하지만, 삶에 대한 자세 – 낙관과 비관. 때로는 달걀을 몰아담지 않는 투자의 지혜 (-ㅅ-); 같은 교훈을 설파하는 데에도 쓰이는 얘기다.

해도 좋은 걱정과 하지 않아도 좋을 걱정이 있는걸까? 해 놓고 보니 참 어설픈 말이다. worrying is like a rocking chair, it gives you something to do, but it gets you nowhere. 라는 말은 있지만.

마음에 근심이 되는 일이면 그 만큼 마음을 차지하는 일이 아닐까. 어느 쪽도 당연하게 여겨 걱정을 않을 수가 있다면 그 어머니가 왜 그런 걱정을 할까. (다른 걱정을 할 수도 있을터 :p)

어찌할 수 없는 일에 걱정을 하고, 마음을 쓰는 것이 쓸데 없기도 하지만. 그런 걱정을 떨칠 수 없는 것이 사람의 마음인가 보다.

그들의 무한궤도

경제성 확실

15년의 줄다리기

개발의 사슬 고리고리에 걸려있는 돈의 위력이 역시 무섭다.
영토확장 이라니, 멀쩡한 갯벌을 죽이고 만든 땅이 얼마나 가치가 있다는 것인가. 매립지는 수십 년이 지나도 똑같지가 않아 쓸모가 넓지 않은데. 농토로 쓴다는 것도 현실적이지 않다고 하지 않던가. 개발의 타당성이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다는 것을 입증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개발을 계속할 경우 문제가 생길 것을 입증해야 하나..

잘하면 된다, 그 동안 쏟은 돈이 얼마인가.. 귀에 익은 논리다. 부적절하게 내려진 결정이나 인가도 일단 내려지고 나면 뒤집기 어렵다. 대법원 결정처럼 상급기관에서는 범위를 제한하고 기술적으로 다루고, 이미 지난 절차에 대해 문제를 제기할 곳은 현실적으로 마땅치 않으니까. 자, 어떻게든 얼렁뚱땅 넘어가고 나면. 땅을 파뒤집고 나면. 공사가 끝나고 나면 용도를 바꾸고 말을 뒤집기란 식은죽 먹기다. 그때 가면 쓴 돈은 늘어나고, 관계된 사람도 늘어나니까. 다 그런거 알면서 왜그러시나..? (-ㅅ-)

엉성한 절차와 졸속으로 이루어진 정책은 시치미 뗀 채 이미 투자한 공사비를 볼모로 밀어붙이는 개발논리에, 앞으로 투입될 자금의 혜택을 볼 집단, 그 혜택에 조금이라 덕을 볼까 기대하는 심리는 미래와 희망을 팔아 이익을 챙기려는 일이다.

그렇게 불평을 늘어놓는 내가 환경을 생각하는 마음으로 하는 것은 무엇인가? 대중교통이나 자전거를 이용하는 것도 아니요, 손수 먹거리를 키우는 것도 아니다. 빈병에 캔, 플라스틱 용기 말고는 재활용을 그렇게 하고 있는 것도 아니고, 혼자 자동차를 몰고 다닌다. 전기는 고사하고 하이브리드도 아닌 자동차. 이 나라에서 저 나라로 오고가는 물건들을 사고 씀으로 무역과 유통에 따르는 자원의 이용에도 도움을 주고 있지 않은가. 컴퓨터와 인터넷, 문명의 이기에는 전력의 소비가 꾸준하게 따르고 휴대전화를 위해서는 곳곳에 기지국이 서야만 한다. 하다못해 환경에 대한 인식을 고려해서 투표를 하지도 못한다. 위대하신 박통 덕분이다.

한번에 딱 부러지게 해결할 방법도 없고, 의욕이 있더라도 어떻게 접근할지 쉽지는 않다. 소극적인 생각은 생활방식 수준에 그칠 뿐, 적극적인 행동은 방향도 모연하다. 생각을 뜸들이면 행동이, 세상이 변할까? 그렇게 쉽게?

우울하다..
쉬운 일이면 벌써 어떻게든 했게? 관심을 끊지 않고 이어가는 것은 고단한 일이고, 잊지 않고 노력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그래서 더욱..

새만금 사업단희망의 갯벌
동아의 새만금 페이지조선의 기사도..

wonderful power of story telling – bruce sterling

1991년 산호세 컴퓨터 게임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했던 강연이 러시아 서버에, 그리고 누군가가 del.icio.us 에 책갈피를 해두었다. 물론 상업적인 용도를 제외하고는 프리웨어 ;)

부담스럽지 않게 점잔을 빼고는 고급 예술의 편견을 먼저 펼친다. 그의 표현을 빌면 ‘나와 친구 빌 셰익스피어’ 논쟁.
“Movies and plays get much of their power from the resonances between the structural layers. The congruence between the theme, plot, setting and character layouts generates emotional power.
Computer games will never have a significant theme level because the outcome is variable. The lack of theme alone will limit the storytelling power of computer games.”

자, 이야기고 뭐고 다 끝났으니 집으로 가야하나? 그럴리가.
We’re not into science fiction because it’s *good literature,* we’re into it because it’s *weird*. Follow your weird, ladies and gentlemen. Forget trying to pass for normal. Follow your geekdom. Embrace your nerditude. In the immortal words of Lafcadio Hearn, a geek of incredible obscurity whose work is still in print after a hundred years, “woo the muse of the odd.” A good science fiction story is not a “good story” with a polite whiff of rocket fuel in it. A good science fiction story is something that knows it is science fiction and plunges through that and comes roaring out of the other side. Computer entertainment should not be more like movies, it shouldn’t be more like books, it should be more like computer entertainment, SO MUCH MORE LIKE COMPUTER ENTERTAINMENT THAT IT RIPS THROUGH THE LIMITS AND IS SIMPLY IMPOSSIBLE TO IGNORE!

기존의 문화에 순응하는 동글동글한 사람이 되지 말 것을 경고한다.
Get weird. Get way weird. Get dangerously weird. Get sophisticatedly, thoroughly weird and don’t do it halfway, put every ounce of horsepower you have behind it. Have the artistic *courage* to recognize your own significance in culture!

물론 그 방법에 몇가지 원칙도 함께 제시하지만, 이런 얘기를 직접 들으면 과연 어떨까?

how will i die ?

글쎄 왜 이런걸 찾아주시냐구요! :p

wp 에서 이글루로 트랙백이 잘 안가는군요.

You scored as Suicide.
Your death will be suicide. What more can I say?
Fact: Suicide is a permanent solution to a temporary problem. If you want to know how you will commit suicide, take a look at your second highest percentage on the bar graphs.

Suicide

80%

Bomb

60%

Disappear

60%

Eaten

53%

Suffocated

47%

Disease

40%

Gunshot

33%

Cut
Throat

33%

Natural Causes

33%

Drowning

33%

Posion

33%

Stabbed

20%

Accident

20%

How Will You Die??
created with QuizFar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