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뮤얼 아비스먼의 Overcomplicated에는 이해의 한계에 있는 기술 Technology at the Limits of Comprehension이라는 부제가 붙어있다.
옛날 물건들은 간단하고 이해하기 쉽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더 좋고 효율적인 도구들이 등장하고 복잡해졌지만, 시간과 노력을 들이면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다. 그런 믿음이 어느 순간 사라졌는데, 인터넷을 넘어 스마트폰과 인공지능을 이야기하는 21세기에는 그런 믿음이 오히려 신기하지 않은가.
컴퓨터가 고장나면 예외없이 가족중 한 사람이 원인이다. 손을 대면 망쳐놓을 때가 있고, 어떤때는 그저 있기만 해도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 같다. 대학에서 아이가 돌아오면 프린터가 멈춘다. 아니면 부모가 방문하니 마우스가 고장난다.
그리고 반대의 문제: 해결책이 나타나자 문제가 신기하게 사라질때. 고장난 기계를 기술지원 부서로 가져가서 담당자가 손을 대자마자 문제는 사라지고 없다. 집에 가져오면 여전히 고장난 기계.
복잡하고 어렵지만 한가지 원인/범인을 찾을 수 있는 경우와 너무 복잡하게 얽혀있어서, 가능한 경우를 나열할 수 있지만 완전히 원인을 찾을 수 없는 경우. 저자는 1986년 우주왕복선 챌린저호의 사고에 대한 파인만 박사의 해석과 도요타 자동차 급발진 사고의 조사를 상반된 예로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