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에 sex, drugs and updating your blog라는 흥미로운 기사가 실렸다. 클라이브 톰슨 clive thompson의 글을 줄여 옮겨본다.
조나단 콜튼 jonathan coulton의 예를 보자. 프로그래머를 그만두고 매주 한 곡씩 써서 블로그에 올리는 것으로 전업 가수의 길을 시작했다. 톰 크루즈도 좋고, 경험으로 알고 있는 끝없는 프로그래밍도 모두 노래감이다. 1년 반 쯤 지나 그의 프로젝트가 알려지기 시작했다. 매일 방문자는 평균 3000 명 이상, 인기곡은 50만 번이 넘게 다운되었다. 일상사를 털어놓는 블로그와 음악에 팬들의 관심도 대단해서 매주 새 노래에 어울리는 그림을 그려주기도 하고, 공연과 기자를 다루는 요령도 조언해준다. 가수와 팬이지만 일방적인 관계가 아니란 얘기다.
9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팬들을 만나는 기회는 드물었다. 공연이 끝나고도 기다린 팬들 정도. 그러다 인터넷이 밀려들었다. mtv나 잡지 만이 아니라 친구의 입을 통해, 사이트 주소를 주고 받고 mp3, 이메일, 블로그와 마이스페이스 myspace. 전화기로 찍어올린 유튜브 youtube 동영상. 작년 영국에서 떠오른 아크틱 멍키즈 arctic monkeys가 인터넷으로 성공한 좋은 예다.
1류 스타들은 물론 마케팅과 매체에 의존하지만 소위 ‘인디’ 음악인들의 새로운 세대가 그런 경우랄까. 어떤 경우는 인터넷이 없었더라면 가능했을지도 의문이다. 콜튼의 소득 41%는 노래(디지털), 3/4 정도는 자신의 사이트에서 팔린다. 29%는 cd 판매, 18%는 공연 표를 파는 수익이다. 나머지 11%는 t셔츠, 물론 온라인 포함해서.
그와 같은 아티스트들은 유연한 가격을 시도하기도 한다. 그의 노래 대부분은 공짜로 받을 수 있다. 팬들이 노래를 사는 이유는 그에게 돈을 보내기 위해서다. 캐나다 가수 제인 시버리 jane siberry는 보다 적극적으로 ‘자유가격 pay what you can’을 고안했다. 노래마다 사람들이 지불하는 평균가격을 함께 표시하면서. 일종의 공정가격이 형성되는 셈인데, 그 결과는 흥미롭게도 한 곡에 $1.30, 아이튠즈 itunes보다 비싸다.
Continue read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