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ffinities – Robert Charles Wilson

2015년 출간된 로버트 찰스 윌슨의 The Affinities.
인류학자 테렌스 디컨의 책 불완전한 자연: 물질에서 정신으로 Incomplete Nature: How Mind Emerged from Matter에 나오는 용어 teleodynamics를 차용했다.

가까운 미래, 인터알리아라는 회사가 빅데이터 기술을 이용한 성격테스트를 내놓고 친화성 정도에 따라 당신과 맞는 친화단체를 추천한다. 페니키아 알파벳 22자로 분류되는 친화단체로 분류되는 사람들은 혈연이나 학연이 아닌 성격이나 특성이 맞는 사람들을 만나고 친목, 이해를 다질수 있다. 개인의 성격이나 개성과 무관한 집단이 아니라 나와 잘 맞고 서로 이해하기 쉬운 사람들. 나를 받아주고 지지해줄 사람들. 종교색 없는 친화단체 affinities.

주인공 애덤 피스트 Adam Fisk는 캐나다 토론토에서 디자인을 공부하다 학비를 지원하던 할머니의 죽음으로 보수적인 아버지가 있는 미 동부 시골집으로 돌아갈 형편에 처한다. 얼마전 응한 친화성테스트의 결과는 타우τ.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생각하고 참석한 타우 모임에서 집과 직장을 해결해주는 사람들을 만나고 그는 빠른 속도로 적응한다.

제니 너처럼 나는 세상에 나를 위한 자리가 하나 있을거라고 늘 생각했어. 무슨 말인지 알지. 너무 추워서 눈덮인 보도에 발자욱 소리가 유리를 곱게 가는듯 한 겨울밤 거리를 걷다가 모르는 집의 창에서 새어나오는 노란 불빛에 아주 평범한 순간이 보여. 아이가 식탁을 준비하고, 여자가 설거지를 하고, 남자가 신문을 넘기는. 그 집 문으로 들어가면 새로운 인생을 시작할 수 있을거라는 생각이 들지. 그 사람들이 너를 알아보고 맞아주면 거기가 언제나 알아왔고 정말로 떠난 적이 없는 곳이라고 깨닫게 되는거야. 언젠가 버치 가에서 했던 이야기 생각나? 눈보라가 몰아친 밤 밴드 연습 후 집으로 걸어서 갔지.

애덤의 타우 트랑쉬 tranche(소집단)를 포함, 타우는 영향력이 커지고 애덤은 그 안에서 우정, 사랑, 신뢰와 온기를 찾는다. 공산당, 사이언톨로지, 무엇으로 비유하든 그렇게 빠져들고 만족. 친화성테스트를 고안한 학자 메이어 클라인과의 만남과 그의 죽음을 계기로 사태는 급진전한다.

클라인은 “진사회성 eusociality”, 곤충에서 보이는 협조적 활동능력에 관해 말하고 있었다. 벌, 개미등 집단곤충이 고전적인 예다. 그에 비해, 인간은 하찮은 협조자같다. 서로 경쟁하고, 희소한 자원을 위해 살육도 한다. 그러나 그것은 단편적인 이야기. 사실상 우리는 곤충보다(곤충도 싸움, 전쟁을 한다) 더 효과적으로 협력한다. 협력의 재능이 인간이 종으로서 독특한 성공을 이룬 까닭이다. 곤충의 위계는 융통성없이 굳어있지만 인간의 위계는 유연하고 한 개인은 다양한 질서에 참여할 수 있다.

성격테스트는 많지만 그다지 정확하고 믿을만 하지 않다. 재미삼아 보는 그런 테스트가 알고리즘을 통해 인간의 협력성과 사회적 특질을 포착한다면 어떨까. 흥미로운 아이디어와 경쾌한 전개 덕분에 책장이 잘 넘어간다. 친화단체를 종교집단으로 바꾸면 성장기 같은 구조가 드러나지만, 구심력이나 의미를 잃어가는 전통적인 집단과 개인 사이의 거리감 그리고 이상적인 소속감과 유대에 대한 바램은 호소력있는 제안이다. 협력의 양면성과 친화단체에 속하지 않은 사람들이 느끼는 차별은 묘사되는데, 친화단체가 효과적으로 구성원들을 유지, 확대하고 도움을 줄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그런 수가 없으란 법은 없으나, 소설 속의 마법같은 것.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