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민하는 힘 – 강상중

걱정고민 없이 살면 좋겠지만 사는게 그러기는 어렵다. 소비사회의 ‘쿨’함이 미덕이던 20세기를 지나 양극화의 고랑에서 확실한 것이 드문 시대다. 경계인 강상중 교수는 100년 전 나쓰메 소세키막스 베버에서 고민하는 삶의 힘을 찾는다.

“재일동포 3세가 한국에서 어학당에 갔는데 왜 한국말을 못하냐고 추궁을 당한 반면 바로 뒤에 온 재미동포 2세가 한국말을 못하는 것에는 자연스럽게 여기는 장면을 목격했다더라”는 일화를 소개했다. 어느 나라에 사는 동포냐가 동포를 차별하는 기준이 된다는 것이다.

이어 그는 “북한 사람들도 일본에서 귀국한 동포들을 ‘귀포(歸胞)’라는 차별적인 말로 부르고, 한국에서는 ‘반쪽바리들’이라고 하고, 일본에서는 ‘제3국인’이라고 차별받는 현실에서 젊은 재일동포들은 한국도 일본도 아닌 제3국으로 가려는 이들이 있다. 그곳에서는 정체성의 문제가 없으리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고 안타까워했다.

자아, 자본주의, 믿음, 청춘과 노년에 대한 조망 등 아홉가지 주제는 보편적이어서 한국인이나 일본인이나 마찬가지가 아닐까. 일하는 까닭은 ‘자아의 실현’ 보다 배려 혹은 ‘인정의 눈길’이라는 설명은 소박하지만 참되다. 그가 나쓰메 소세키의 인물을 빌어 정의하는 사랑도 수긍이 간다.

돌이켜 생각해 보면 사랑은 그때그때 상대의 물음에 응답하려는 의지입니다. 사랑의 모습은 변합니다. 행복해지는 것이 사랑의 목적이 아닙니다. 사랑이 식을 것을 처음부터 겁낼 필요는 없습니다.

가볍지 않은 이야기를 짧고 부담이 없으나 신중한 문장으로 풀어간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